근골격계 중재
근골격계중재 - 반달연골 손상
BANMU
2022. 3. 17. 00:00
반응형
<반달연골 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반달손상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반달연골손상> 개요 가쪽반달연골(Lateral meniscus) : 다소 작고 원형(O형) 안쪽반달연골(Medial meniscus) : 크고 넓은 폭(C형) 반달연골의 기능 : 관절의 안정성↑, 무릎의 충격완화 그리고 스트레스 감소, 정강뼈와 넙다리뼈의 적합성↑ -> 손상 빈도 : 안쪽반달연골 > 가쪽반달연골 2. 원인 손상기전 : 무릎관절을 굽힘 자세에서 갑자기 폄을 할 때 또는 굽힘에서 폄을 할 때 외반력(밖굽이힘)과 비틀림이 동반되면 손상되기 쉬움 가쪽반달연골손상 : 고정된 정강뼈에 넙다리의 가쪽돌림력 안쪽발달연골손상 : 고정된 정강뼈에 넙다리의 안쪽돌림력 3. 임상증상 1) 잠김 파열된 반달이 관절면 사이에 물림으로 인해 무릎관절이 굽힘 자세에서 폄을 할 때 특정 각도에서 고정이 발생 -> 강제로 움직이면 잡음과 함께 다시 폄이 되는 현상 굽힘 10~30도에서 고정 -> 안쪽반달연골손상 굽힘 70도 이상에서 고정 -> 가쪽반달연골의 뒷면 손상 2) 뜬무릎뼈 반달 손상과 윤활막 인대가 닿는 부위에 손상을 받으면 삼출액의 증가 -> 무릎뼈가 올라오는 현상 보통 48~72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 -> 일부는 흡수되지만 나머지는 천자를 통해 빼내야 함 열상에서는 급성 관절 혈종이 생길 수 있음 3) 꺾이는 무력감 현상 (=버클링) 반달연골의 뒤 돌기부분에 손상으로 발생 지면이 편평하지 못한 곳을 걸을 때, 계단을 내려갈 때, 높은 곳에서 뛰어내릴 때 -> 무릎관절이 매우 불안정하여 갑자기 무기력해짐(꺾여서 주저 앉으려고 함) 4) 근위축 운동제한으로 넙다리네갈래근에서 발생 -> 특히 안쪽넓은근 위축이 심함 (안쪽넓은근은 무릎의 완전 폄의 마지막에서 수축하는 근육인데, 반달 손상으로 굽힘을 계속 유지한다면 가장 먼저 위축된다) 5) 반달연골 손상 형태 : 빗파열, 세로형 파열, 수평파열, 퇴행성파열, 양동이손잡이파열 등 양동이손잡이 파열이 가장 많음
안쪽반달 : 세로형파열이 많음 가쪽반달 : 수평파열이 많음 치유정도 1. 가장자리 파열 > 안쪽파열 -> 가장자리는 활액막으로부터 혈액공급이 우수하기 때문에 2. 세로형파열>빗파열 / 단순파열>복합파열 / 외상파열>퇴행성파열 / 급성파열 > 만성파열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4. 검사 및 평가 1) 물리치료적 검사 (1) 맥머리검사 손상직후 급성 통증 상태라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 이 검사 자체가 무릎관절에 통증과 삼출액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① 안쪽반달연골검사 : 무릎완전굽힘 + 정강뼈 가쪽돌림력을 가하면서 무릎 폄 -> 염발음과 퉁김소리와 통증 발생하면 안쪽반달 손상 ⓶ 가쪽반달연골검사 : 무릎완전굽힘 + 정강뼈 안쪽돌림력을 가하면서 무릎 폄 -> 딸깍 또는 퉁김소리와 통증 발생하면 가쪽반달 손상 (2) 아플레이 검사 반달연골과 무릎주위 물렁조직을 구분하기 위한 검사 엎드린 자세에서 검사 ① 압박검사 : 무릎을 90도 굽힘 + 발꿈치 압박 + 정강뼈를 안쪽돌림 또는 가쪽돌림 -> 안쪽돌림 시 통증 발생 : 가쪽반달손상 -> 가쪽돌림 시 통증 발생 : 안쪽반달손상 ⓶ 당김검사(떼어당김검사) : 무릎을 90도 굽힘 + 발꿈치 수직 당김 + 정강뼈를 안쪽돌림 및 가쪽돌림 -> 안쪽돌림 시 통증 발생 : 가쪽곁인대손상 -> 가쪽돌림 시 통증 발생 : 안쪽곁인대손상 (3) 웅크림검사(squartting test) : 양다리를 안쪽돌림 및 가쪽돌림하여 앉고 서기 -> 손상된 반달이 관절면 사이에 끼이면 통증이 더욱 증가 (4) 왓슨존슨검사 : 바로누운자세에서 환자에게 무릎관절을 최대한 폄 -> 손상부위에서 통증 호소 (5) 되튀김검사(Bounce home test) : 반달의 단열, 무릎관절내의 유리체, 관절공간내의 종창 등의 원인으로 무릎을 굽힘 후에 폄할 때 무릎의 폄이 안되거나 되튀김 2) 의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 반달 손상을 직접적으로 진단 못함 (=십자인대손상도 마찬가지) -> 비정상적인 관절구조 및 관절 내 유리체, 박리성 골연골염 등을 위해 실시 MRI : 반달연골손상 검사에 유용 무릎 관절경검사 : 무릎관절 절개를 시행하지 않고 정확한 진단을 내려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한 검사 -> 무릎관절 손상 부위와 범위를 직접 관찰할 수 있음 관절조영술 : 공기나 조영제를 관절 안에 주입 -> 관절 간격에 대해 수직으로 여러 방향의 방사선 촬영을 하여 진단하는 방법 / 반달연골손상에 대한 확진율이 높음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1) 급성기 염증감소,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를 위해 무릎관절을 30도 정도 굽힘 상태로 고정 (스프린트, 테이핑, 탄력붕대 등) -> PRICE 실시 (2) 만성기 근육이완, 염증완화, 통증감소, 근연축감소, 말초순환증진을 위해 얕은&깊은 열치료, 전기치료 등을 실시 (3) 반달연골손상이 경미한 경우 : 보존적인 치료 실시 -> 무릎 20~30도 굽힘 상태에서 석고 붕대 및 보조기 약 2~4주 착용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2) 운동치료 (1) 수술이나 고정기간 등척성 운동 – 넙다리네갈래근 중 특히 안쪽넓은근 위축 방지를 위해 마사지 – 삼출액 감소 유착 방지 (2) 고정을 제거 후 회복 정도에 따라 관절운동을 실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가 증가 -> 반달연골에 압박력 증가(특히 60도 이상 굽힘 시 반달연골이 뒤쪽으로 어긋남) -> 굽힘 운동 시 주의 (3) 체중부하 및 보행 : 지팡이 및 평행봉을 훈련 (부분체중부하 운동 -> 완전체중부하운동으로 진행) (4) 반달연골 잠김에 대한 정복(=어긋난 뼈를 맞추는 것)방법 ① 안쪽반달연골 잠김 시 :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굽힘 + 외반력 + 다리의 안쪽돌림 ⓶ 가쪽반달연골 잠김 시 :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굽힘 + 내반력 + 다리의 가쪽돌림 3) 의학적 처치 가쪽반달연골 손상 : 혈액공급이 안쪽반달보다 원활하기에 봉합고정복구술 시행 안쪽반달연골 손상 : 부분제거술 시행 => 수술 후 4주간 : 비체중부하와 무릎관절 60도 이상 굽힘운동 제한 4) 예방 및 관리 앉아서 일어날 때 넙다리 돌림을 피하고 무릎에 외력 방지 손상 후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무릎 주위 근육을 강화 |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2판. 현문사.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