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중재
근골격계중재 - 발목관절인대 손상, 아킬레스건 손상
BANMU
2022. 3. 17. 00:00
반응형
<발목관절인대 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발목관절인대 손상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발목관절인대 손상> 개요 손상이 쉬운 인대 안쪽 : 세모인대(Deltoid ligament) 가쪽 : 앞목말종아리인대, 뒤목말종아리인대, 발꿈치종아리인대 2. 원인 지면이 편평하지 못한 곳에서 보행, 뛰거나 점프를 하는 운동선수에게 주로 호발 앞목말종아리인대 : 가장 약해서 손상이 잘 일어남(약 95%) / 발이 바닥에 닿는 순간에 발목관절이 내반(Inversion)이 되어 손상 뒤목말종아리인대 : 발생빈도가 적지만(앞목말종아리인대보단 강함), 목말뼈의 뒤쪽 및 돌림 어긋남으로 손상 안쪽부 세모인대 : 갑작스러운 외반(Eversion)으로 손상되는데 세모인대는 매우 강하기 때문에 손상 시에 뼈와 같이 떨어져나가버려 발목 가쪽부에 골절이 동반되기도 함 3. 임상증상 발목부위에 날카로운 통증도 있음 아킬레스힘줄의 가쪽부분, 가쪽관절융기 또는 발등에 부기 발생 1도 손상 : 경한 부기 2~3도 손상 : 중등도 혹은 심한 부기와 발등에 피하밑 출혈 -> 멍(Bruise)이 생김 앞목말종아리인대 손상 : 종아리뼈의 앞쪽 모서리에 통증 뒤목말종아리인대 손상 : 종아리뼈의 끝에서 통증 보행 또는 다리에 체중을 가하면 통증은 더욱 증가 4. 검사 및 평가 1) 물리치료적 검사 (1) 앞끌림검사 : 발목 20도 발바닥굽힘하여 발목관절 앞쪽으로 끌림 할 때 -> 목말뼈의 과도한 앞쪽 방향 움직임 또는 통증 발생 시 앞목말종아리인대 손상 (2) 클레이거 검사 : 정강뼈를 고정하고 발을 가쪽돌림 시 -> 목말뼈 전이 또는 통증이 발생하면 세모인대 손상 2) 의학적 검사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 방사선검사, 자기공명영상 등을 병행 -> 방사선은 골절과 같이 추가적인 병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1) 급성기 : 염증감소,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를 위해 발목관절에 부목, 테이핑, 탄력붕대 등으로 발목굽힘과 가쪽번짐 상태로 고정 -> PRICE 실시 (2) 만성기 : 근이완, 염증완화,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 말초순환 증진을 위해 -> 얕은&깊은열치료, 전기치료 등 실시 1도 손상 : 발목에 탄력붕대, 테이핑, 발목발보조기 등으로 고정 / 테이핑이나 석고붕대로 고정 시 발목 중립 또는 약간의 발등 굽힘과 가쪽번짐 상태로 고정 2도 손상 : 3~4주간 발목발보조기 등으로 고정 2) 운동치료 (1) 고정기간 동안 등척성 운동 -> 근위축 예방 마사지 적용 -> 삼출액 감소와 유착 방지 (2) 고정 제거 후 능동운동 및 수동 뻗침운동을 실시 -> 관절유착 형성 방지, 아교질섬유의 회복, 발목관절 운동범위를 회복 저항운동/ 발목의 고유수용성 운동 -> 근련강화 / 균형증진 목말 및 지팡이 이용 -> 부분체중부하운동에서 완전체중부하운동으로 점진적으로 보행 훈련 실시 -> 근력과 지구력 향상 3) 의학적 처치 약물치료 : NDAID 복용 -> 통증과 부기를 감소 파열된 인대 : 수술 치료 (인대 재건술과 인대 이식수술) 수술 후 관절 불안정성 예방 -> 발목발보조기 등을 약 4~6주간 착용 4) 예방 및 관리 발등굽힘, 발바닥굽힘, 안쪽번짐과 가쪽번짐의 근력강화 운동 균형훈련과 고유수용성감각훈련을 실시하여 재발 방지 |
<아킬레스건 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아킬레스힘줄 손상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아킬레스힘줄 손상> 개요 Achilles tendon :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인대 기능 : 발등굽힘을 제한하고 발바닥굽힘에 강한 힘을 발휘 / 바로 선 자세에서 유지와 걸을 때 몸을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Toe off를 하기 위한 힘) 손상 호발 부위 : 근힘줄이음부, 힘줄 중간부, 힘줄뼈대부 모두에서 자주 발생 -> 특히 힘줄 중간부(2~5cm) 사이에서 손상과 퇴행으로 쉽게 발병 / 혈류공급이 불충분하다.(치유가 더 오래걸림) 2. 원인 발목관절의 과도한 발등굽힘 그리고 외상 등 힘줄에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노인, 점프활동이 많은 운동선수, 당뇨병 등의 질환 3. 임상증상 힘줄이 파열할 때 뚝하는 파열음이 들림 파열된 부분이 함몰(오목) 발등굽힘을 할 때 통증과 약화, 종창, 발끝 직립 곤란, 보행 장애 등이 발생 -> 통증 경우 : 약간 또는 중등도의 파열 경우 심할 수 있지만, 완전파열된 경우 파열되는 순간에만 통증이 심하고 그 뒤로는 없을 수도 있음 4. 검사 및 평가 1) 물리치료적 검사 (1) 톰슨검사 장딴지근을 압박 -> 발바닥쪽 굽힘 유도하는데 만약 나타나지 않으면 힘줄 파열 2) 의학적 검사 방사선촬영과 자기공명영상 등으로 검사 -> 확진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1) 급성기 염증감소,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를 위해 -> 발목관절에 부목, 테이핑, 탄력붕대 등으로 발바닥 굽힘 상태로 고정 -> PRICE 실시 (2) 만성기 근육이완, 염증완화,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 말초 순환증진을 위해 -> 얕은&깊은 열치료, 전기치료 등 실시 -> 부분파열 치료 : 무릎관절 45굽힘 + 최대한 발바닥굽힘 – 힘줄의 긴장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석고붕대를 약 6주 이상 고정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2) 운동치료 (1) 고정기간동안 등척성 운동 -> 근위축 예방 마시지 -> 삼출액 감소 및 유착 방지 (2) 고정 제거 후 능동운동 및 수동 뻗침 운동 -> 관절유착 방지, 아교질섬유 회복, 발목관절 운동범위 회복 점진적인 저항운동 -> 장딴지 근육을 강화 목발 및 지팡이를 이용 -> 부분체중부하운동에서 완전체중부하운동으로 점진적으로 근력과 지구력을 향상 약 13주부터 또는 손상측 다리가 비손상측 다리의 70% 정도 회복되었을 때 걷기와 조깅 운동을 함 최대의 발목관절 회복은 약 12개월 혹은 그 이상이 걸림(아킬레스건이 신체에서 크고 강한 힘줄이어서 회복도 오래 걸림) 3) 의학적 처치 약물치료 : NSAID 복용 -> 통증과 부기를 감소 수술치료 : 힘줄을 봉합하는 재건술, 힘줄 이식수술 -> 발목을 고정 4) 예방 및 관리 발목관절의 과도한 발등굽힘 동작 피하기 점프 활동 등 발목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 -> 사전에 뻗침 운동 손상 후에는 재발방지를 위해 아킬레스힘줄 강화운동 실시 |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2판. 현문사.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