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중재
근골격계 중재 - 결절종, 뒤피트랑구축, 인대손상, 힘줄손상
BANMU
2022. 3. 17. 00:01
반응형
<결절종>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기타병변 – 결정종 개요, 원인, 임상증상,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결정종> 개요 Ganglion 손 또는 발에 있는 관절의 윤활막 또는 힘줄집 등의 물렁조직에서 발생하는 점액성액을 함유한 양성종양 2. 원인 윤활액이 유출되어 종괴(mass)를 형성하거나 물렁조직의 점액성 변성에 의해 발생 3. 임상증상 형성된 종괴가 신경을 누르게 되면 통증, 감각둔화, 근력약화, 압통, 손가락을 움직일 때 불쾌감 등이 나타남 호발부위 : 긴엄지폄근, 집게폄근, 손가락폄근 등의 힘줄집 (간혹 노쪽손목굽힘근 힘줄집에서 발생하여 방아쇠 손가락의 원인이 되기도 함) 4. 중재 생성된 결정종은 자연적으로 소실되기도 함 자연적으로 소실 안될 경우 : 직접 압박하여 제거 / 주사기로 흡입 / 국소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주입하는 보존적인 방법을 이용 비교적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외과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이 가장 효과적 |
<뒤피트랑구축>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기타병변 – 뒤피트랑구축 개요, 임상증상,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뒤피트랑구축> 개요 손바닥근막에 진행성 비후와 구축을 일으키는 것 -> 손가락관절에 굽힘구축 유발 정확한 발생의 원인은 불분명 -> 알콜성간질환, 당뇨병, 갑상성질환, 결핵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발병률이 증가 -> 일부 유전적 요인이 관여(유전양상이 명확하지 않음) 2. 임상증상 중년층 또는 노년층의 남성에게 호발 침범범위 : 4~5번째 손가락에 호발 유색인종 < 백인종에게 호발 양측성으로 많이 나타나고 오른쪽 손가락에 호발 손바닥면의 피하에 가벼운 통증성 결절이 MP joint 손바닥면에 촉지 점차 비후된 널힘줄띠가 세로로 형성 -> 손바닥 쪽으로 4~5번째 손가락을 당김 -> MP joint, PIP joint의 굽힘구축을 발생 3. 평가 초기 : 4~5번째 손가락의 피부에 원반 같은 결절 발생 후기 :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에 섬유성 밴드가 촉진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4.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물렁조직 이완 및 통증 완화와 순환증진 -> 온열치료 -> 일반적으로 온열치료를 실시한 후 능동운동이나 뻗침운동을 적용 순환 증진을 위하여 -> 수치료, 광선치료 초음파, 단파, 극초단파 치료를 통한 깊은조직 온열 및 마사지치료를 적용 2) 운동치료 구축 초기나 경한 경우 -> 수동적 폄운동 및 뻗침운동 손의 짧아진 손바닥근막에 대한 심부 마찰마사지 굽힘구축으로 약해진 손가락 폄근육들 -> 능동적 폄운동 등을 실시 3) 정형도수치료 MP joint & PIP joint의 폄 움직임 증가를 위해 -> 손등 방향으로 관절 활주 또는 관절 견인 -> 관절 미끄러짐 운동 적용 4) 의학적 처치 굽힘구축인 경우 : 비대된 손바닥의 근막 또는 힘줄막을 절제하거나 제거 후 부목을 이용하여 손가락 폄 상태로 유지 수술방법 : 피부 아래 근막절제술, 부분 또는 전체 근막절제술, Z-성형술, V-Y성형술 5) 예방 및 관리 기형에 따른 이차적인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자세 교육과 관리 자가운동에 대한 교육 |
<인대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인대손상의 개요, 임상증상,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인대손상> 개요 인대, 힘줄, 근육의 손상은 삠(=염좌=Sprain)과 파열(rupture)로 구분 급성 삠 : 순간적인 내력과 외력에 의해서 관절이 과신장되어 발생 만성 삠 : 잘못된 자세나 적절하지 못한 운동 등에 의해 관절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신장으로 발생 완전파열 : 인대의 모든 섬유가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에 의해 끊긴 상태로, 관절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 -> 파열의 정도에 따른 분류 1도 : 인대의 섬유 몇 개 정도가 손상 – 관절에 불안정성이 없는 상태 2도 : 인대의 섬유가 절반 정도 손상 – 관절에 불안정성이 약간 있는 상태 3도 : 인대의 섬유가 모두 손상 – 관절에 불안정성이 심한 상태 2. 임상증상 급성 삠 통증이 즉시 발생 -> 시간 경과 시 감소 관절을 뻗침시키면 통증은 재발 부기(Swelling) -> 손상 직후 급속하게 발생 / 인대주위 조직액이 유축되면서 염증성 삼출물을 형성 만성 삠 손상부위를 중심으로 둔한 통증(Dull pain)이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 (때로는 날카로운 통증도 발생 가능) 능동 및 수동운동에서 통증이 유발 만성적 인대의 과뻗침으로 관절의 불안정성과 관절의 비정렬 -> 불량한 자세를 유발하고 기능장애를 발생 완전파열 손상 직후 인대가 파열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아주 심하고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 부기는 빠르게 형성되며 급성 삠과 같은 멍이 발생 인대 파열로 인한 기능상실이 발생, 일상생활활동에 영향 3. 중재 급성 삠 - 손상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 냉치료, 압박, 올림 및 고정 등 통증 완화를 위한 물리적 인자치료를 적용 (급성기에는 냉치료를 위주로 부기와 염증을 완화) 만성 삠 - 반복적인 외상과 불량한 자세 등의 원인을 규명하고 교정 관절의 유연성 증가와 근력강화, 고유수용성감각훈련 등을 실시 -> 재발 방지 통증이 나타나면 물리적 인자치료를 적용 (냉치료는 짧게, 온열치료를 많이 함.) 근 재교육, 보행훈련, 자세교정, 일상생활활동훈련 및 예방교육 실시 완전파열 수술을 실시하고 관절을 고정 -> 고정을 제거하면 관절운동범위 증가 및 근 재교육을 실시하고 통증이 나타나면 물리치적 인자치료를 적용 |
<힘줄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인대손상의 개요, 임상증상,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인대손상> 개요 인대, 힘줄, 근육의 손상은 삠(=염좌=Sprain)과 파열(rupture)로 구분 급성 삠 : 순간적인 내력과 외력에 의해서 관절이 과신장되어 발생 만성 삠 : 잘못된 자세나 적절하지 못한 운동 등에 의해 관절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신장으로 발생 완전파열 : 인대의 모든 섬유가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에 의해 끊긴 상태로, 관절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 -> 파열의 정도에 따른 분류 1도 : 인대의 섬유 몇 개 정도가 손상 – 관절에 불안정성이 없는 상태 2도 : 인대의 섬유가 절반 정도 손상 – 관절에 불안정성이 약간 있는 상태 3도 : 인대의 섬유가 모두 손상 – 관절에 불안정성이 심한 상태 2. 임상증상 급성 삠 통증이 즉시 발생 -> 시간 경과 시 감소 관절을 뻗침시키면 통증은 재발 부기(Swelling) -> 손상 직후 급속하게 발생 / 인대주위 조직액이 유축되면서 염증성 삼출물을 형성 만성 삠 손상부위를 중심으로 둔한 통증(Dull pain)이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 (때로는 날카로운 통증도 발생 가능) 능동 및 수동운동에서 통증이 유발 만성적 인대의 과뻗침으로 관절의 불안정성과 관절의 비정렬 -> 불량한 자세를 유발하고 기능장애를 발생 완전파열 손상 직후 인대가 파열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아주 심하고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 부기는 빠르게 형성되며 급성 삠과 같은 멍이 발생 인대 파열로 인한 기능상실이 발생, 일상생활활동에 영향 3. 중재 급성 삠 - 손상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 냉치료, 압박, 올림 및 고정 등 통증 완화를 위한 물리적 인자치료를 적용 (급성기에는 냉치료를 위주로 부기와 염증을 완화) 만성 삠 - 반복적인 외상과 불량한 자세 등의 원인을 규명하고 교정 관절의 유연성 증가와 근력강화, 고유수용성감각훈련 등을 실시 -> 재발 방지 통증이 나타나면 물리적 인자치료를 적용 (냉치료는 짧게, 온열치료를 많이 함.) 근 재교육, 보행훈련, 자세교정, 일상생활활동훈련 및 예방교육 실시 완전파열 수술을 실시하고 관절을 고정 -> 고정을 제거하면 관절운동범위 증가 및 근 재교육을 실시하고 통증이 나타나면 물리치적 인자치료를 적용 |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2판. 현문사.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