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중재
근골격계 중재 - 가시위근 힘줄염, 테니스엘보, 골퍼엘보
BANMU
2022. 3. 19. 21:43
반응형
<가시위근힘줄염>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가시위근힘줄염(Supraspinatus tendinitis) 개요, 원인, 분류,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가시위근힘줄염> 1.개요 가시위근은 돌림근띠를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로, 초기에 어깨 벌림에 관여하고 가시아래근, 작은원근과 함께 가쪽돌림 운동에 작용 2. 원인 어깨에 계속적인 스트레스가 염증성 반응과 근섬유화를 초래하여 근 탄력성 상실 더욱 진행되면 석회화로 진행될 수 있고, 심하면 파열 초래 3. 분류 1) 힘줄뼈막이음부(Tenoperiosteal junction) 2) 힘줄뼈막이음부 깊은부위(Tenoperiosteal junction deep aspect) 3) 근육힘줄이음부(Musculotendinous junction) 4) 힘줄의 먼쪽부(Distal end of tendon) 4. 임상증상 급성 석회화 힘줄염 25~45세 젊은층 사이에서 발생 만성 힘줄염 50~60세 사이에서 호발 반복적인 팔의 벌림운동과 가시위근의 스트레스 등의 자극으로 발생 어깨관절주위와 어깨세모근 거친면까지 국소 압통을 호소 팔을 벌림할 때 통증 발생 / 주로 야간통이 심함 / 통증 경감을 위해 환자들은 어깨올리기 동작(보상작용)을 취함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5. 검사 및 평가 힘줄뼈막이음부검사 어깨관절 벌림할 때 저항을 가하면 통증이 발생 -> 통증호 : 약 80~110도 수평상태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Supination) 벌림 시 통증 발생 경우 : 가시위근 힘줄 뼈막 이음부 앞부분 병변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고(Pronation) 벌림 시 통증 발생 경우 : 가시위근의 닿는 곳의 병변 힘줄뼈막이음부깊은부위검사 어꺠관절 벌림할 때 저항을 가하면 통증이 발생 -> 통증호 : 가동범위 마지막 부분 근육힘줄이음부검사 어깨관절 벌림할 때 통증 없음/ 벌림 저항을 가할 때만 통증 – 힘줄 몸쪽부 병변 -> 통증호 : 가동범위 마지막 부분(힘줄뼈막이음부깊은부위와 공통점) - 경우에 따라 통증이 발생하지 않을 때도 있음 힘줄의 먼쪽부검사 통증호 : 어깨관절 수평위(80~110도) & 완전 벌림(가동범위 마지막 부분) 힘줄의 깊은부분과 얕은 부위 모두 침범된 것임 6.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초기 : 염증반응과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 냉치료 어느정도 부종이 사라지면 -> 얕은&깊은 열치료를 시작 팔걸이(Arm sling)이나 벨퓨붕대 등으로 어깨관절을 고정 -> 1~2주 이상의 장기간 고정으로 인해 관절 구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온열치료 시 : 어깨관절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함 -> 온습포 사용 시 : 압박을 피할 수 있는 자세를 만들어 준다.(온습포의 무게로 어깨관절이 압박되지 않도록 주의) 염증성 삼출물이 있는 경우 : 초음파가 효과적 -> 힘줄부위에 적용 / 마이크로 마사지의 이중효과를 기대 가능 야간통 : 누운 자세에서 어깨관절 밑에 베개(또는 타월)를 받쳐 어깨관절 구조를 안정화 -> 통증 경감 2) 운동치료 염증이 가라앉으면(급성기 이후) 능동운동을 실시 -> 유착조직 늘림을 위한 뻗침운동 후에 근력강화운동 등을 병행, 이때 돌림근띠의 끼임자세(Impingement position)를 피해 실시 운동 : 현수운동(Sling을 이용), 수중치료, 코드만 운동, 어깨사다리 및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PNF) 등 어깨관절 수동굽힘운동(가장 중요한 운동) : 상태가 호전되면 돌림운동을 첨가 / 마지막으로 벌림운동을 시키는 것이 좋음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3) 정형도수치료 벌림운동의 제한이 계속될 경우 : 열림위치나 관절운동의 제한된 마지막 위치에서 벌림 제한에 대한 미끄러짐운동(관절가동술 GⅡ,Ⅲ)을 실시 특히 봉우리빗장관절과 복장빗장관절의 정상적인 관절운동 기능유지에 중점을 두어 실시 4) 예방 및 관리 어깨관절의 앞뒤근육의 균형이 매우 중요 -> 특히 위팔의 안쪽돌림과 가쪽돌림근의 근력이 3:2 비율을 가지고 있어야 손상을 예방 가능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각 운동방법을 정확히 숙지, 기본 운동법을 생활화 |
<가쪽위관절융기염 = 테니스 엘보>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가쪽위관절융기염의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가쪽위관절융기염> 개요 가쪽위관절융기염 -> Tennis elbow = Lateral epicondylitis 위팔노근, 긴노쪽손목폄근, 짧은노쪽손목폄근의 이는 부위인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에 근염 및 섬유소염, 힘줄의 찢김 및 파열, 뼈막염, 윤활낭염, 퇴행성 힘줄염 등을 동반한 통증 2. 원인 운동선수, 손목관절의 펴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 및 가정주부에게서 호발 자주 사용하는 근육 : 짧은노쪽손목폄근(관절주머니와 가장 밀접하기 때문) -> 테니스 운동선수 경우 : 백스윙동작에서 위팔노근에 침범되는 경우가 많음 3. 임상증상 40대 초반 남녀에게 발생 팔꿉관절 가쪽에 통증을 유발 주먹 쥐기, 무거운 물건 들어 올리기, 아래팔을 엎침&뒤침 시 통증 증가 팔꿉관절 가쪽위관절융기는 아래팔 엎침과 손목관절 폄할 때 가장 많은 스트레스가 발생 4. 검사 및 평가 1) 물리치료적 검사(70~71p 그림 참고) 코젠검사 환자 : 팔꿉관절 굽힘, 아래팔 엎침 검사자 : 한쪽 손은 검사측의 가쪽위관절융기에 위치 / 반대쪽 손은 손등을 잡고서 손목관절을 폄할 때 저항 검사측 가쪽관절융기 부위에 통증 발생 시 양성 밀검사 팔꿉관절 굽힘, 아래팔 엎침, 손목 굽힘 상태 -> 팔꿉관절을 천천히 폄 가쪽위관절융기에 통증 발생 시 양성 마우드슬리검사 팔꿉관절을 완전히 폄한 상태에서 가운데 손가락(MP jt.) 폄시 저항 통증이 나타나면 양성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환자의 약 90% 정도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호전 급성기 : 손목관절의 폄을 제한하는 절대적인 안정이 필요 / 부목 등으로 고정하고 냉치료를 적용 급성기 이후 : 온열치료 -> 온습포, 단파, 극초단파, 초음파 등 / 특히 유착된 부위는 이온도입법, 초음파를 1W/cm² 강도로 약 5~10분 적용 ① 테니스팔꿉 띠(Strap) : 활동 제한을 위해 착용 -> 가쪽위관절융기보다 2~3cm 아래쪽에 착용 ⓶ 통증이 지속되고, 재활프로그램의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 국소부위에 스테로이드주사 및 NSAIDs를 투여 / 보존적인 방법으로 1~2년 동안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 관절경 방법으로 수술을 고려 2) 운동치료 초기 : 휴식과 항염증 치료가 적용 -> 통증과 염증의 조절을 위하여 2~3주 동안의 활동제한이 필수적! 운동 강도 : 환자가 통증을 견디는 정도에 근거를 두고 설정(통증을 느끼는 거 이하로 실시) 가벼운 능동 및 수동관절운동, 가벼운 등척성 굽힘, 폄, 엎침, 뒤침운동, 점진적 등장성 및 등속성 운동으로 진행 3) 정형도수치료 유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마사지가 필수적! 깊은 수평마찰마사지 : 가쪽위관절융기 부위의 최대 압통점에 대하여 근섬유에 수직으로 강한 압력의 마사지를 실시 / 통증이 심하므로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사지 수행 전 5분간 냉치료 적용 / 격일로 최대 5회 내에서 1회당 5~7분 동안 실시 팔꿉관절의 폄과 뒤침에 저운동성이 있는 상태 : 열린위치에서 뒤쪽 미끄러짐운동을 실시 4) 예방 및 관리 고정기간이 지나 통증이 완화 -> 가정에서 자가 뻗침운동을 실시 반복적인 엎침과 뒤침동작을 제한하도록 환자를 교육 -> 특히 아래팔을 엎침한 상태에서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피하도록 (아래팔 엎침, 손목 폄을 피하도록) / 뒤침동작으로 변경하면 증상 호전과 악화를 예방할 수 있음 |
<안쪽위관절융기염 = 골퍼엘보>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안쪽위관절융기염의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안쪽위관절융기염> 개요 안쪽위관절융기염 : Golfers elbows = medial epicondylitis 원엎침근, 노쪽손목굽힘근, 긴손바닥근, 자쪽손목굽힘근의 이는 부위인 팔꿉관절의 안쪽위관절융기에 손상 2. 원인 골프의 스윙, 투수 피칭, 손으로 물건 들어올리기와 잡기, 망치 및 드라이버작업 등 손목관절 굽힘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발생 3. 임상증상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를 촉진 -> 국소 압통 발생 특히 아래팔을 엎침하거나 손몬관절 굽힘 시 저항을 가하면 통증이 현저하게 증가 4. 검사 및 평가 1) Golfer’s elbow test 환자 : 팔꿉관절 굽힘, 아래팔 뒤침 검사자 : 한쪽 손은 검사측 안쪽위관절융기에 위치하고 반대쪽 손은 손바닥을 잡고서 손목관절 굽힘 시 저항을 가하면서 안쪽위관절융기에 약간 압박을 가함 통증이 발생하면 양성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테니스엘보에 준하여 실시 -> 초기 : 냉치료 / 후기 : 열치료 2) 운동치료 가벼운 능동 및 수동 관절운동 -> 가벼운 등척성 굽힘, 폄, 엎침, 뒤침운동 -> 점진적으로 등장성 및 등속성 운동으로 진행 (테니스엘보랑 공통) 3) 예방 및 관리 손목의 굽힘과 폄을 억제 & 강하게 쥐는 활동이나 반복적으로 쥐는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교육 통증 완화 시 -> 가정에서 자가 관절운동이나 뻗침운동을 실시 |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2판. 현문사.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