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공부

어깨가슴관절 관련 근육 3 : 어깨가슴관절(ST joint) 내밈근육

BANMU 2025. 1. 26. 09:58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깨가슴관절(ST joint)의 내밈근육(Protractor)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어깨가슴관절에서 가장 중요한 내밈근육으로는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m.)이 있습니다!

이 넓은 근육은 SC joint(복장빗장관절)의 수직 돌림축을 중심으로 Protraction(내밈)을 하는 데 있어 좋은 지례 작용을 가질뿐더러 어깨뼈 내밈의 힘은 GH Joint(오목위팔관절)를 지나 전달되어 앞쪽으로 미는 힘 및 손 뻗기 활동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앞톱니근이 약해진 환자라면 앞쪽으로 미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겠지요.

 

작은 가슴근(Pectoralis minor m)도 어깨뼈 내밈의 힘을 발생시키나 그 힘이 앞톱니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사실, 작은가슴근이 어깨뼈 내밈근육으로서 작용을 하기보다는 근육 자체가 Tight 해져서 어깨뼈의 뒤당김을 제한한다고 보는 게 더 인정된다고 합니다. 흔히 보이는 라운드 숄더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말이죠.

 

아래에 앞톱니근의 이는 곳, 닿는 곳, 작용, 신경을 적어 놓았습니다. 한번 보고 가세요!

 


 

앞톱니근 (전거근, Serratus Anterior m.)

O : 1~9번째 갈비뼈 가쪽면
I: 어깨뼈 안쪽모서리 (medial border= Vertebral border)
A :어깨뼈 내밈(Protraction), 위쪽돌림(Upward rotation), 어깨뼈 아래각과 가깝게 붙은 아래섬유는 내림을 보조

/ 어깨 벌림 후기단계에서 중간등세모근과 짝힘을 이루어 AC joint External rotation & 아래등세모근과는 Post. tilting.

N : 긴 가슴신경

 

앞톱니근

 

★ 어깨 벌림 중간 & 후기 단계 동안 중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이 앞톱니근과 짝힘을 이루어 AC joint External rotation & Posterior tilting을 일으킨다.

→ External rotiation에 대한 힘은 어깨 벌림 동안 어깨뼈 안쪽 모서리가 띄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

앞톱니근과 중간등세모근의 짝힘 -> AC joint external rotation

Posterior tiliting에 대한 힘은 어깨 벌림 동안 어깨뼈 아래각이 띄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

앞톱니근과 아래등세모근의 짝힘 -> AC joint Posterior tilitng.

긴 가슴신경의 손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날개어깨뼈(Winging scapula)의 형상을 상상해 보자. 안쪽모서리와 아래각이 들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깨뼈 위쪽돌림 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어깨 벌림에 제한을 줄 수 있으며, 중간등세모근과 가시위근의 수축이 어깨뼈의 운동 역학을 지배하여 모순적인 어깨뼈 아래쪽돌림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내용은 ST joint 위쪽돌림근육 때 다시 언급하도록 하겠음)

Winging scapula

 

사진 출처 : https://sl.bing.net/jc3Sfuj4lYO

 

How to Fix Scapular Winging

Bing의 www.performanceredefined.net에서 찾았습니다.

www.bing.com

 

 

★ 중간등세모근은 앞톱니근과 짝힘으로도 작용하지만, 마름근과 함께 앞톱니근의 내밈에 대한 대항근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팔의 올림 동안 앞톱니근과 중간등세모근 중 어느 힘이 우세하는에 따라 위쪽돌림된 어깨뼈가 뒤당김 위치가 되기도 하고 내밈 위치가 되기도 하지만, 어깨 벌림 동안 빗장뼈가 뒤당김(Retraction) 된다는 사실을 보면 어깨 뒤당김 근육이 원래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톱니근의 또 다른 중요 작용을 보고 끝내려고 합니다!.

팔굽혀 펴기(Push-up) 다들 많이 하고 계신가요?

팔굽혀 펴기 초기 단계는 위팔세갈래근(Triceps m.),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m.)에 의해 일차적으로 수행되지만,

팔굽혀 펴기의 마지막 성분은 앞톱니근의 수축에 의해 수행됩니다. 팔꿉관절의 완전히 폄 된 후에는 양쪽 어깨뼈의 의도적인 내밈을 수행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가슴을 더 말아 올릴 수 있는데, (등은 둥글게, 가슴은 오목하게 더 위로 들어 올리는 자세!) 이러한 동작을 소위 앞톱니근의 "푸시업플러스(Push-up plus)" 작용이라고 합니다.

푸쉬업 플러스 작용은 앞톱니근에 대한 특정한 요구를 부여하기 때문에 강화 및 어깨 안정성 증진을 위해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더 다양한 운동이 있지만, 다들 팔굽혀펴기 하면서 끝지점에서 한번 시도해 보세요!

(손목이 아프신 분들은 푸시업 바를 이용해서 하시고요!)


 

다음에는 어깨가슴관절 뒤당김 근육으로 돌아오겠습니다!

혹시 어깨 벌림 시 어깨뼈의 운동형상학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시다면 어깨위팔리듬에 관한 편을 읽고 다시 봐주세요!

 

어깨위팔리듬(Scapulohumeral rhythm) : 어깨 벌림에 대한 전반적인 운동형상학 (어깨복합체의 6가지 운

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오늘은 어깨위팔리듬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총 6가지 운동형상학적 원리를 차례대로 나열할 테니 천천히 같이 이해해봐요! 우선! 어깨위팔리듬(

informationforothers.tistory.com

 

다들 일상 공부 & 일 하시느라 힘드시죠! 항상 응원합니다!

다들 주말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뒤당김 근육이 궁금하다면~

 

어깨가슴관절 관련 근육 4 : 어깨가슴관절(ST joint) 뒤당김 근육

안녕하세요! 다들 월요일 하루 잘 마무리하셨나요?오늘은 어깨가슴관절 뒤당김 근육(Retractor)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이 많지 않으니 가볍게 보면서 공부하세요~!어깨가슴관절

informationforother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