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Physical Therapist Who Studies

예비물리치료사, 현직물리치료사분들 그리고 임상에 일하시 모든 치료사분들! 같이 공부해주세요! 혹시 내용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하고 수정하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반응형

오목위팔관절 2

어깨위팔리듬(Scapulohumeral rhythm) : 어깨 벌림에 대한 전반적인 운동형상학 (어깨복합체의 6가지 운동형상학적 원리)

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오늘은 어깨위팔리듬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총 6가지 운동형상학적 원리를 차례대로 나열할 테니 천천히 같이 이해해봐요! 우선! 어깨위팔리듬(Scapulohumeral rhythm)이란?→ 건강한 어깨의 경우, 오목위팔관절(GH joint)의 벌림(Abduction)과 어깨가슴관절(ST joint)의 위쪽돌림(Upward rotation) 사이에는 자연적인 운동형상학적 리듬 또는 타이밍이 존재하는데, 이를 어깨위팔리듬이라고 함.→ 수십 년 전 Inman에 의한 선구적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으며, 약 30도 GH joint Abduction 이후 위팔뼈와 어깨뼈 사이의 움직임은 2:1의 비율로 일어난다고 함.(Shoulder abduction 3도 = GH join..

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 : 4개의 관절 & 각 관절의 뼈운동형상학

안녕하세요! 다들 월요병 잘 이겨내셨나요?오늘은 어깨복합체를 이루는 4개의 관절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였습니다.자세한 내용을 더 보고 싶으시다면 참고 서적을 참고해 주세요!어깨복합체는 복장뼈, 빗장뼈, 갈비뼈, 어깨뼈, 위팔뼈에 의해 역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갖는 4개의 관절로 구성됩니다.아래는 4개의 관절과 각 관절에서 일어나는 뼈운동형상학을 정리하였습니다. • SC jt. (복장빗장관절) → 안장관절(올림, 내림 : Convex rule / 내밈, 뒤당김 : Concave rule): Clavicular facet of Sternum (복장뼈의 빗장관절면) + Sternal end of Clavicle (빗장뼈의 복장 끝): Elevation(올림), Depression(내림) → 거의 이마면: Pr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