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Physical Therapist Who Studies

예비물리치료사, 현직물리치료사분들 그리고 임상에 일하시 모든 치료사분들! 같이 공부해주세요! 혹시 내용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하고 수정하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반응형

근골격계중재학 14

근골격계 중재 - 가시위근 힘줄염, 테니스엘보, 골퍼엘보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개념 가시위근힘줄염(Supraspinatus tendinitis) 개요, 원인, 분류,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주요내용 요점정리 1.개요 가시위근은 돌림근띠를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로, 초기에 어깨 벌림에 관여하고 가시아래근, 작은원근과 함께 가쪽돌림 운동에 작용 2. 원인 어깨에 계속적인 스트레스가 염증성 반응과 근섬유화를 초래하여 근 탄력성 상실 더욱 진행되면 석회화로 진행될 수 있고, 심하면 파열 초래 3. 분류 1) 힘줄뼈막이음부(Tenoperiosteal junction) 2) 힘줄뼈막이음부 깊은부위(Tenoperiosteal junction deep aspect) 3) 근육힘줄이음부(Musculotendinous junction) 4) 힘줄의 먼쪽부(Dist..

근골격계 중재 2022.03.19

근골격계 중재 - 돌림근띠 증후군, 오목테두리 손상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개념 돌림근띠증후군 (Rotator cuff syndrome)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주요내용 요점정리 개요 rotator cuff syndrome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어깨밑근) 어깨위팔관절을 연결, 지지하는 깊은 어깨부위 근육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깨부 인대가 염증, 완전파열 또는 부분 파열을 일으키는 질환 2. 원인 계속적인 사용과 마모에 따른 진행성 변성과 외부 손상에 따른 힘줄 손상 특히 40대 이후 돌림근띠는 퇴행성으로 진행되어 칼슘 침착과 힘줄 파열이 발생 지나친 던지기 동작, 과도한 위팔의 사용, 좌상 또는 외상 및 젖힘 등이 원인 3. 임상증상 어깨관절 통증, 구축, 벌림장애 및 기능저하 등의 증상 돌림근띠의 힘줄 완전..

근골격계 중재 2022.03.17

근골격계 중재 - 유착성관절주머니염(굳은어깨)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개념 유착관절주머니염(Adhesive capsulitis) 개요, 원인, 임상증상, 중재(급성기, 만성기) 주요내용 요점정리 개요 Adhesive capsulitis(유착성관절주머니염) = Frozen shoulder(굳은어깨 / 동결견 / 오십견) : 어깨관절의 통증과 운동 제한을 동반, 만성기에는 어깨관절주위 근육에 약화가 동반 / 보통 40~60세 사이의 연령층에서 여성이 호발 2. 원인 일차적 원인은 알 수 없음 이차적 원인 ① 어꺠관절 관절염 ② 석회성 가시위근힘줄염 ③ 돌림근띠파열 ④ 위팔두갈래근힘줄염 및 구축 ⑤ 어깨관절 외상 ⑥ 어깨관절에 대한 스트레스 ⑦ 외과수술 후 어깨관절 고정 ⑧ 심근경색 ⑨ 뇌혈관질환 ⑩ 갑상샘호르몬이상 / 당뇨병 3. 임상증상 1) 1단..

근골격계 중재 2022.03.17

근골격계중재 -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구분내용정리내용정리주요개념팔 병변 :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 TOS = 흉곽출구증후군) 의 개요, 원인, 분류,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주요내용 요점정리가슴문 증후군>개요Thoracic outlet syndrome ; TOS팔로 가는 팔신경얼기, 빗장밑동맥과 정맥 및 겨드랑혈관 등이 목에 위치한 앞목갈비근, 중간목갈비근, 뒤목갈비근, 제 1갈비뼈, 작은가슴근 사이로 지나가다가 압박되어 나타나는 증후군2. 원인선청성 기형, 종양, 외상 및 근 비후(근육이 거대해지는 것) 등발병 연령 : 20~30대 / 여성이 더 흔하게 발병3. 분류1) 목갈비뼈증후군(Cervical rib syndrome)제 7목뼈 가로돌기가 현저히 길게 된 것으로 팔의 신경 및 혈관이 압박되..

근골격계 중재 2022.03.17

근골격계 중재 - 근육긴장, 근육염, 타박상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개념 근육긴장 개요, 임상증상, 중재 주요내용 요점정리 개요 긴장(Strain) : 근육이나 힘줄의 손상으로 기술할 때 더 많이 사용 (특히 근육!) 근육 긴장의 원인 : 가벼운 외상, 작은 강도의 반복적인 외상, 근육의 갑작스러운 과뻗침 및 무리한 과부하적인 운동 등으로 발생 2. 임상증상 근육의 약화와 근연축이 발생 부기 : 1도 손상에서는 적은 반면, 2~3도 손상에서는 심하게 발생 -> 1도 : 근육섬유 중 몇 개가 찢어짐 -> 2도 : 근육섬유 중 절반 가량이 찢어짐 -> 3도 : 근육섬유 중 거의 모든 부분이 찢어짐 통증 : 관절을 뻗침하거나 등척성 수축할 때 더욱 악화, PROM에서는 발생없음 -> 근육이 긴장한거여서 수동운동 할 시에는 통증이 없다. -> 수축성 ..

근골격계 중재 2022.0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