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Physical Therapist Who Studies

예비물리치료사, 현직물리치료사분들 그리고 임상에 일하시 모든 치료사분들! 같이 공부해주세요! 혹시 내용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하고 수정하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근골격계 중재

근골격계 중재 - 유착성관절주머니염(굳은어깨)

BANMU 2022. 3. 17. 00:02
반응형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개념 유착관절주머니염(Adhesive capsulitis) 개요, 원인, 임상증상, 중재(급성기, 만성기)
주요내용 요점정리 개요
Adhesive capsulitis(유착성관절주머니염) = Frozen shoulder(굳은어깨 / 동결견 / 오십견) : 어깨관절의 통증과 운동 제한을 동반, 만성기에는 어깨관절주위 근육에 약화가 동반 / 보통 40~60 사이의 연령층에서 여성이 호발


2. 원인
일차적 원인은 알 수 없음
이차적 원인
어꺠관절 관절염
석회성 가시위근힘줄염
돌림근띠파열
위팔두갈래근힘줄염 및 구축
어깨관절 외상
어깨관절에 대한 스트레스
외과수술 후 어깨관절 고정
심근경색
뇌혈관질환
갑상샘호르몬이상 / 당뇨병


3. 임상증상
1) 1단계(급성기) : 어깨관절 통증의 발생과 특징적인 결빙기(Freezing) /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관절에서 팔 전체로 방사되는 통증이 약 2~3주간 발생 / 야간통이 심하고 활동량에 비례하여 통증이 증가 / 급성기는 약 10~36주간 지속


2) 2단계(아급성기) : 강직이 점차 진행되는 동결기(Frozen) / 휴식 시 통증은 보통 감소, 어깨관절에서 모든 운동에 제한, 운동 시 통증 발생 / 어깨세모근, 돌림근,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의 위축이 동반


3) 3단계(만성기) : 용해 또는 해빙기(Thawing) / 운동범위가 점차 회복되어 물리치료를 실시 / 3~6개월간 지속


-> 통증 : 어깨관절주위에서 시작하여 위팔부의 가쪽, 심하면 손까지 방사 / 어깨관절 벌림과 가쪽돌림할 때 통증이 증가, 야간통이 심하고 대기압 변화에도 통증이 발생 / 일반적으로 발병 3개월까지 통증이 악화, 4개월부터는 어느 정도 통증은 완화되나 관절 강직이 일어나서 운동장애, 근위축이 발생
-> 발병 후 2년에 걸쳐 자발적인 회복이 가능
-> 관절주머니, 종창, 염증, 섬유화 현상이 발생, 활막 : 연골에 유착되어 관절주머니 용적이 협소


-> 기능적인 평가 : 어깨관절 아플레이 긁기 검사 반대편 앞어깨 긁기, 반대편 뒤위쪽 등 긁기, 반대편 뒤아래쪽 등 긁기를 통해 확인 가능 (55P 그림 참고)


-> 방사선 소견 : 어깨관절에 석회화 현상이 발견
병리소견

어깨세모근밑윤활주머니를 형성하고 있는 섬유층 사이 유착

관절 내외의 관절 주머니 유착

어깨밑근과 위팔두갈래근의 구축

유착관절주머니염

폐쇄윤활주머니염

팔이음뼈 근육의 구축과 강직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내용 요점정리

4. 중재
1) 급성기 중재
물리적 인자치료
유착관절주머니염의 최선의 중재는 예방이다!
환자에게 회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확신을 주는 것이 중요 (꾸준한 치료가 중요)
통증치료 : 클라이오냉치료, TENS, ICT, 단파, 극초단파, 초음파 등의 전기치료 적용/ 심할 경우 진통제, NSAID 투여를 병행
특히 야간 및 수면 시 통증이 심하면 :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어깨관절 구조 안정을 위해 어깨관절 뒷부위에 타월 등을 삽입하여 어깨관절 뒤당김(Retraction)을 방지함으로써 통증을 감소




운동치료
급성기, 통증 완화, 점진적 관절운동기능 회복, 관절운동범위를 확대시키는 것이 중요
어깨관절주위 근육을 충분히 이완, 어깨관절 심부의 관절간격을 확보 -> 수동 및 뻗침운동과 능동보조 및 능동운동을 부드럽게 실시
초기 : Codman pendulum exercise과 저강도 관절 미끄러짐 운동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 -> ROM을 확대
-> 어깨관절 수동관절운동 : 굽힘과 폄, 벌림과 모음, 가로모음과 가로벌림, 안쪽&가쪽돌림 순으로 진행 (가장 부담이 덜 되는 동작부터 가장 스트레스 주는 동작 순으로)


근육을 충분히 이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수동운동이나 뻗침운동 -> 근육 파열과 말초혈관손상에 주의
통증이 줄어들기 시작 -> 각종 기구 등을 이용하여 능동보조관절운동을 실시 (예를 들어 어깨 사다리, 어깨 휠, 머리 위 도르래 등 이용 57P 그림 참고)




정형도수치료
통증 완화와 관절운동범위의 증가 -> 관절 미끄러짐 운동 /단계를 적용
-> 관절 미끄러짐 운동(관절가동술 단계)
: 초기(약간 늘림)
: 조직의 저항(중간정도 늘리며 조직의 저항이 생김)
: 해부학적으로 늘릴 수 있는 정도로 최대한 늘림
: 해부학적 한계를 넘어서 늘림 뼈소리가 들리거나 잘못하면 조직 손상
(/: 통증 감소에 좋음 / /: 가동성 증가시키는데 좋음)
어깨관절을 약 55도 굽히고 30도 정도 가로모음한 열린 위치에서 당김치료를 적용 -> 통증 감소
초기 관절운동범위 확보를 위해 각각 굽힘과 폄 제한 위치 바로 전에서 적용
혈류증진, 근육의 이완 -> 마사지를 이용
통증이 감소 -> 미끄러짐을 이용하여 굽힘 및 안쪽돌림, 폄 및 가쪽돌림, 벌림의 관절 미끄러짐 운동을 적용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내용 요점정리 2) 만성기 중재
물리적 인자치료
이환(병에 걸림) 4개월부터는 어느 정도 통증이 완화되기 때문에 운동장애와 근위축이 가장 문제임
통증치료 : 열치료, TENS, ICT, 단파, 극초단파 등의 열&전기치료를 적용
-> 심할 경우 약물과 주사를 병행
유착을 깨뜨리기 위해 초음파 치료가 중요
적외선이나 극초단파와 함께 1~2W/cm2의 강도로 3~7분 정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증감


운동치료
통증의 감소를 위해 -> 수동&능동운동들을 통하여 관절운동범위를 확보, 위축된 근육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근력강화운동을 필요
가동범위 확보를 유지-이완(Hold-relax)과 같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기법(PNF)이 유용 / 율동성 안정화 기법으로 점진적으로 난이도를 높임
도르래를 이용하거나 철봉 등을 이용하여 관절가동운동과 뻗침운동을 적용
관절운동범위가 회복되면 -> 어깨관절주위 근육에 대한 근력강화운동을 단계적으로 실시하며,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짐볼 등)의 어깨관절 안정화운동을 병행


정형도수치료
유착을 깨뜨리기 위해 마사지를 실시, 특히 근육힘줄이음부에 적용
통증이 감소되었다면 -> 정상 관절운동 범위 확보를 위해 등급 와 등급 의 관절 미끄러짐운동 적용


예방 및 관리
통증과 구축, 운동 및 기능장애를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해 가정에서 자가보조관절운동이 필수적
관절운동범위 확보와 유지를 위해 막대를 이용하여 자가보조관절운동을 실시 / 5~10초 동안 뻗침을 유지, 10~20회 반복, 초기 자가보조관절운동은 하루에 2~3번 수행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2판. 현문사.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