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Physical Therapist Who Studies

예비물리치료사, 현직물리치료사분들 그리고 임상에 일하시 모든 치료사분들! 같이 공부해주세요! 혹시 내용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하고 수정하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근골격계 중재

근골격계중재 -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BANMU 2022. 3. 17. 00:02
반응형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개념 팔 병변 :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 TOS = 흉곽출구증후군) 의 개요, 원인, 분류,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주요내용 요점정리 <가슴문 증후군>
개요
Thoracic outlet syndrome ; TOS
팔로 가는 팔신경얼기, 빗장밑동맥과 정맥 및 겨드랑혈관 등이 목에 위치한 앞목갈비근, 중간목갈비근, 뒤목갈비근, 1갈비뼈, 작은가슴근 사이로 지나가다가 압박되어 나타나는 증후군


2. 원인
선청성 기형, 종양, 외상 및 근 비후(근육이 거대해지는 것)
발병 연령 : 20~30 / 여성이 더 흔하게 발병


3. 분류
1) 목갈비뼈증후군(Cervical rib syndrome)
7목뼈 가로돌기가 현저히 길게 된 것으로 팔의 신경 및 혈관이 압박되어 특히 제 4.5번 손가락에 통증, 감각둔화, 저림, 손에 부종, 청색증이 발생


2) 앞목갈비근증후군(Scalenus syndrome)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의 비후로 인하여 위팔신경총, 빗장밑동맥이 압박되어 나타나는 증후군


3) 갈비빗장증후군(Costoclavicular syndrome)
1갈비뼈의 앞 1/3, 빗장뼈 앞 1/3, 중간목갈비근의 제 1갈비뼈 부착부에서 삼각공동이 협소하여 신경, 혈관이 압박
주로 빗장뼈골절 및 갈비뼈골절로 인한 부정유합 / 과다한 애벌뼈 형성 / 위팔을 위로 올리고 목을 뒤로 젖혀 일하는 직업 등이 원인


4) 과벌림증후군(Hyperabduction syndrome)
팔의 과벌림의 원인
작은가슴근이 긴장되어 1갈비뼈와 작은가슴근 사이에서 팔신경얼기와 빗장밑동맥과 정맥이 압박되어 발생
팔쪽으로 방사통, 지각장애, 손가락부종 등이 초래
주로 위팔을 위로 올리고 목을 뒤로 젖혀 일하는 직업, 수면 중 위팔을 과벌림 자세로 했을 때 증상이 발생
아래팔이나 손에 부종, 청색증, 노동맥 박동이 감약되거나 소실됨


4. 임상증상
병변부위의 압통과 위팔, 아래팔, 손의 자신경 분포부위(4.5손가락)에 저림, 통증, 타진통 그리고 마비가 발생
빗장밑동맥이 압박되면 손가락과 손에 부종, 청색증이 발생
일반적으로 누운자세에서 통증이 악화됨
-> 가슴이 머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목갈비근이 단축되며 공간 협소로 발생
-> 이때 자세를 변화시키면 통증이 소실(예를 들어 어깨 밑에 수건을 두고 약간의 라운드 상태를 유지)
유발점에 의해 목갈비근의 긴장도가 높아지면 목뼈의 가쪽굼힘이 다소 제한
유발점이 목갈비근과 머리널판근에도 동시에 생기면 목뼈의 돌림운동도 심하게 제한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내용
요점정리
5. 검사 및 평가 (사진은 서적을 참고해주세요)
1) 물리치료적 검사
목갈비근압박검사 : 머리를 환측으로 돌림하고 턱이 환측 빗장뼈에 닿도록 할 때 통증이 발생


목갈비근이완검사 : 어깨관절을 굽힘하고 아래팔을 앞이마에 닿게 하여 빗장뼈를 목갈비근과 팔신경얼기로부터 들어 올리게 하여 통증을 소실


손가락굽힘검사 : 손가락을 굽힘하여 손가락 힘의 파악을 시행


팔신경얼기압박검사 : 빗장뼈 위오목에서 목갈비근 삼각을 압박 / 신경얼기의 압통 방사통의 유무를 판정 / 팔에 방사통이 나타나면 양성


빗장밑동맥압박징후
에드손검사 : 바르게 앉은자세에서 치료사가 검사하고자 하는 노통맥을 촉지한 후 환자는 검사하는 방향으로 머리를 돌리고 폄하여 노동맥을 측정하였을 때 맥박이 소실되면 앞목갈비근증후군 양성반응


루즈검사 : 않은 자세에서 양팔을 90도 올려 벌림하고, 팔꿉을 90도 굽힌상태에서 손가락을 쥐었다 펴는 동작을 3분간 계속함. / 만약 통증 때문에 3분간 계속할 수 없다면 갈비빗장증후군의 양성반응 / 약간의 피로감과 통증은 음성으로 간주


할스테드검사 : 검사자는 환자의 뒤쪽에 서서 팔을 뒤쪽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고 환자의 머리를 검사측 반대로 돌리고 동시에 목을 폄 / 검사측 노동맥 맥박이 소실되면 갈비빗장증후군의 양성반응


군인자세검사 : 앉은 자세에서 양 어깨를 뒤아래로 당겨서 노동맥을 측정하며 맥박이 소실되면 갈비빗장증후군의 양성반응


과벌림검사 : 노동맥을 촉지한 다음 어깨 관절을 벌림시켜서 노동맥을 촉지했을 때 맥박이 소실되면 과벌림증후군의 양성반응


알렌검사 : 레이노드질환, 가슴문증후군, 페쇄혈전혈관염, 피부경화증과 같은 말초동맥질환이 있거나 손에 저림 또는 무딤증상을 검사 / 노동맥의 맥박을 먼저 촉지 -> 손가락을 펴고 구부리면서 맥박을 촉지했을 때 맥박이 소실되면 양성


수정된 알렌검사 : 검사자는 환자의 어깨관절을 벌림&가쪽돌림 시킨 상태에서 환자가 머리를 검사측 반대쪽으로 회전했을 시 노동맥의 맥박이 사라지면 과벌림증후군 양성반응


2) 의학적 검사
방사선검사 : 갈비뼈의 기형(Malformation)과 발육 이상(Developmental anomaly)을 관찰
동맥조영술, 빗장밑동맥 압박과 부종검사, 자기공영 영상(MRI)를 이용하여 목갈비근의 이상을 관찰하면 진단에 도움 (특히 목갈비뼈증후군과 앞목갈비근증후군의 차이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아 진단이 힘들기에 다른 검사를 통해 알아내야 함)

구분 내용정리
내용정리 주요내용
요점정리
6.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1차적 목표인 증상 완화가 이루어진 후, 원인이 되는 나쁜 자세를 교정
증상 조절을 위한 통증 완화 : 온열과 전기치료
증상 조절 이후에 팔이음뼈와 목뼈주변 근육의 가동운동, 강화운동, 뻗침운동 실시
목갈비근이나 큰가슴근 등의 뻗침 운동 전에 1~2W/cm2의 강도로 3~7분 정도 초음파를 이용하면 효과적


2) 운동치료
중재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 원인이 되는 나쁜 자세를 교정하는 것
-> 자세 결합의 발생 위치와 시기 확인을 위해 활동과 생활방식 조사 및 평가
-> 중재 프로그램 : 일상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운동치료는 마름근, &중간등세모근 근력강화를 위주로 실시


가슴문이 열리는데 도움을 주는 목빗근과 어깨올림근도 근력강화운동이 필요


근육이 신경 혈관 다발을 압박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큰가슴근, 목갈비근, 뻗침 방법으로 벽이나 모서리 뻗침 운동을 실시


부적절한 호흡 시 목갈비근의 긴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로막호흡(=배호흡/복식호습) 교육 필요


3) 정형도수치료
가슴문의 유연성 증가 및 정상운동범위를 회복하기 위하여 관절가동술 실시


4) 예방 및 관리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피하기
손상측 어깨에 브래지어, 핸드백 또는 차량의 안전벨트 같은 띠가 압박하지 않도록 주의
장시간 머리를 젖힘 상태로 하는 활동, 격렬한 유산소 운동, 손상측으로 누워 자는 것, 환자의 증상을 유발하는 팔의 부적절한 자세 및 일상생활활동 등을 교정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환자에게 허리를 바로 펴고 바르게 서 있는 법을 교육
일상생활활동이나 직업과 관련하여 굽힘자세의 사용을 교정



 

참고자료 :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2판. 현문사. 2018

해부학 앱 : Altals(유료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