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감기에 걸려서 이번 주에 꽤 고생했습니다 ㅠㅠ
오늘은 간단히 보행주기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해요.
평소처럼 편하게 읽으면서 공부하시길!

★ 걷기(Walking, Ambulation)란?
: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움직이는 개인의 기본적인 요구이기 때문에 사람이 매일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가장 흔한 활동들 중 하나입니다. 걷기는 감각과 운동 기능 사이의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들에 의해 나타나는 복잡한 결과입니다. 중추신경계통(CNS)이 시각, 전정기관의 안뜰감각, 발의 고유수용성 감각으로부터의 입력정보를 통합하여 적절한 운동 작용을 발생시켜야 사람은 걸을 수 있습니다.
: 걷기는 연속적인 움직임들이 주기적으로 일어난 결과로,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걸음주기(보행주기, Gait cycle)로 설명하려고 합니다.
보행주기를 세분화하기 전 간단히 우리의 한걸음(Stride)과 한발짝(Step)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 한걸음(Stride) : 한쪽 발꿈치 닿기에서부터 또다시 같은 쪽 발꿈치 닿기 사이에서 일어난 과정들의 연결을 말하며, 한걸음은 보행주기와 동의어로 쓰인다.
→ 한발짝(Step) : 한쪽 발꿈치 닿기에서부터 반대쪽 발꿈치 닿기 내에서 일어난 과정들의 연결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발짝은 오른쪽 발꿈치 닿기와 왼쪽 발꿈치 닿기 사이를 말하며, 오른쪽 한발짝과 왼쪽 한발짝이 모여 한걸음이 이 되며, 이는 걷기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보행주기와 같다.
→ 한걸음 & 한발짝 길이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우선 책에 나온 수치를 남겨놓겠습니다.
한발짝 길이 : 72cm
한걸음 길이 : 144cm
한발짝 너비 : 8~10cm (한쪽 발의 뒤꿈치와 다른 쪽 발의 뒤꿈치 사이 거리)
발 각도 : 5~7도 (발가락이 가쪽으로 향하고 있는 양을 나타냄)
지금부터는 보행주기 동안 일어난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해 0~100% 까지 세분화하려고 한다.
보행주기는 간단히 2개의 단계인 디딤기(Stance phase)와 흔듦기(Swing phase)로 나눌 수 있다.
디딤기(Stance phase, 입각기) : 걸음주기의 60% | 흔듦기(Swing phase, 유각기) : 걸음주기의 40% |
발꿈치닿기에서 부터 발가락떼기까지로, 발바닥이 지면에 있을 때 일어나며, 체중을 지지한다. | 발가락이 지면에서 떨어진 시점부터 발꿈치가 지면에 다시 닿기 직전까지로, 발이 공중에 있을 때 일어나며, 다시 지면에 접촉할 때까지 발이 앞으로 전진한다. |
그리고 디딤기와 흔듦기 동안 두 발이 지면에 모두 접촉하는 시기인 두다리지지기(Double-limb support) 2번, 한 발만이 지면에 접촉하는 시기인 한다리지지기(Single-limb support) 2번으로 나눌 수 있다.
0~12% 두다리 지지기 |
12 ~50% 오른쪽 한다리지지기 | 50~ 62% 두다리 지지기 |
62~100% 왼쪽 한다리지지기 |
오른쪽 다리 디딤기(Stance phase, 0~62%) | 오른쪽 다리 흔듦기(Swing phase, 62~100%) | ||
오른쪽 다리 보행주기(Gait cycle, 0~100%) |
이제는 보행주기를 더 세분화해보자!
※ 위에서 나눈 표의 색을 동일하게 해 두었음.
Gait cycle 0~100% |
Stance phase 0~62% |
RLA Terms / Traditional Terms | % |
Initial contact(초기접촉기) / Heel strike(발꿈치닿기) | 0~2% | ||
Loading response(부하반응기) / Foot flat(발바닥 닿기) | 2~12% | ||
Mid stance (중간디딤기) | 12~31% | ||
Terminal stance(말기디딤기) / Heel off(발꿈치떼기) | 31~50% | ||
Pre swing(전흔듦기) / Toe off(발가락떼기) | 50~62% | ||
Swing phase 62~100% |
Initial swing(초기흔듦기) / Acceleration(가속기) | 62~75% | |
Mid swing(중간흔듦기) | 75~87% | ||
Terminal swing(말기흔듦기) / Deceleration(감속기) | 87~100% |
1) 초기접촉기(Initial contact)
● 보행주기의 0%에서 발꿈치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순간을 말함 (0~2%)
● 반대쪽 다리 : Terminal Stance
● Main muscle
→ Gluteus maximus(큰볼기근)
: COG가 무너지지 않도록 받들고, Terminal stance까지 Hip extension에 대한 동심성 수축함.
※ Main muscle에서 나오는 동심성 수축과 편심성 수축은 관절의 각과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등장성 수축에 해당함.
- 동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 :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
- 편심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 :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수축
2) 부하반응기(Loading response)
● 보행주기의 2~12%에 해당하며, 발바닥 전체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순간을 말함.
● 반대쪽 다리 : Pre swing
● Main muscle
→ Quadriceps m. (넙다리네갈래근) : 편심성 수축하면서 15도 Knee flexion
→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 : 편심성 수축하면서 10도 Plantar flexion
※ IC ~ LR까지 보행주기 중 첫 번째 Double-limb support
3) 중간디딤기(Mid stance)
● 보행주기의 12~31%에 해당하며, 체중을 지지하고 있는 다리의 바로 위를 통과하게 되는 시기이자 흔듦기에 있는 반대쪽 다리의 발이 디딤기에 있는 다리를 지나가는 바로 그 시점이라고 정의함.
● 시상면에서 넙다리뼈의 큰돌기가 지지하고 있는 발의 중간지점 위에 수직으로 놓이는 시기라고 말하기도 함.
● 반대쪽 다리 : Initial swing & Mid swing
● Main muscle
→ Gluteus medius(중간볼기근)
: Swing phase 하는 반대쪽 다리의 골반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해 동심성 수축
→ Calf m.(Plantar flexor, 종아리근육) : 편심성 수축을 통해 Ankle의 5도 Dorsiflexion 되는 것을 조절
4) 말기디딤기(Terminal stance)
● 보행주기의 31~50%에 해당하며, 발뒤꿈치가 지면에서 들리는 시기를 말함.
● 반대쪽 다리 : Terminal swing & Initial contact
● Main muscle
→ Gluteus maximus(큰볼기근)의 동심성 수축 & Iliopsoas m.(엉덩허리근)의 편심성 수축
: Hip extension 15도 ~ 20도 조절
→ Calf m.(Plantar flexor, 종아리근육) : 편심성 수축을 통해 Ankle의 5도 Dorsiflexion →10도 Dorsiflexion
5) 전흔듦기(Pre swing)
● 보행주기의 50~62%에 해당하며, 발가락이 지면에서 떨어지려는 순간으로 정의됨.
● 보행주기 중 두 번째 Double-limb support
● 반대쪽 다리 : Loading response
● Main muscle
→ Iliopsoas m. (엉덩허리근) & Rectus femoris(넙다리곧은근) : 동심성 수축을 통해 Hip flexion 시작
→ Adducor longus(긴 모음근) & Gracilis(두덩정강근) : 무릎을 안쪽으로 모음
→ Calf m.(Plantar flexor, 종아리근육) : 동심성 수축으로 Ankle의 20도 Plantar flexion
6) 초기흔듦기(Initial swing)
● 보행주기의 62~75%에 해당하며, 발가락이 지면에서 떨어진 순간부터 중간흔듦기까지의 기간임.
● 반대쪽 다리 : Mid stance
● Main muscle
→ Iliopsoas m. (엉덩허리근) & Rectus femoris(넙다리곧은근) : 동심성 수축으로 15도 Hip flexion
→ Adducor longus(긴 모음근) & Gracilis(두덩정강근)
→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 : 동심성 수축하여 Ankle의 20도 Plantar flexion → 10도 Plantar flexion
7) 중간흔듦기(Mid swing)
● 보행주기의 75~87%에 해당하며, 흔듦기에 있는 발이 디딤기에 있는 다리의 발을 넘어서 지나갈 때로, 흔듦기에 있는 다리의 정강뼈가 지면과 수직을 이룸.
● 반대쪽 다리 : Mid stance
● Main muscle
→ Iliopsoas m. (엉덩허리근) & Rectus femoris(넙다리곧은근) : 동심성 수축으로 15도 Hip flexion → 25도 Hip flexion
→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 : 동심성 수축하여 Ankle의 10도 Plantar flexion → 0도(등척성 수축을 통해 유지)
※ 등척성 수축 : 관절의 각과 근육의 길이는 변하지 않지만 근육의 장력은 있는 상태(움직임은 변하지 않으나 계속 힘주고 있는 상태)
8) 말기흔듦기(Terminal swing)
● 보행주기의 87~100%에 해당하며, 중간흔듦기의 끝에서부터 발이 지면에 접촉하려는 순간까지를 말함.
● 반대쪽 다리 : Terminal stance
● Main muscle
→ Hamstring m. (Biceps femoris long head, 넙다리 두갈래근)
: 다리를 앞으로 내뻗을 때 감속시켜 조절하면서 내딛을 수 있게 해 줌.
→ Quadriceps m. (넙다리네갈래근) : 동심성 수축하면서 Knee extension
→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 : 등척성 수축을 통해 Ankle 0도 (중립상태) 유지
마지막으로 아래 표에 보행주기동안 Joint motion 각도 변화를 정리하였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Joint | IC | LR | MS | TS | PS | IS | MS | TS |
Pelvis | Forward | Forward | 0 | Backward | Backward | Backward | 0 | Forward |
Hip | 25 flex. | 25 flex. | 0 | 20 ext. | 0 | 15 flex. | 25 flex. | 25 flex. |
Knee | 0 | 15 flex. | 0 | 0 | 40 flex. | 60 flex. | 25 flex. | 0 |
Ankle | 0 | 10 PF | 5DF | 10DF | 20PF | 10PF | 0 | 0 |
MTP | 25 ext. | 0 | 0 | 30 ext. | 60 ext. | 0 | 0 | 0~25 ext. |
※ MTP : 발허리발가락관절
※ flex. = flexion(굽힘) / ext. = extension(폄) / PF=Plantar flexion(발바닥쪽굽힘) / DF=Dorsiflexion(발등쪽굽힘)
※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책마다 설명된 각도 변화 수치도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보행주기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사실 각 면에서의 관절의 운동형상학적 움직임이나 힘 관련해서 책에 더 복잡한 내용이 많습니다.
천천히 읽어보면서 이해하면 후에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보행은 몇 년이 지났지만 계속 공부하고 있네요,,,
다들 내일부터 새로운 3월 첫 출근 파이팅 하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참고자료
Donald A. Neumann/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제3판 / 범문에듀케이션(2018)
임상운동학 교재편찬위원회/임상운동학 제3판 / 현문사(2020)
'문뜩 생각나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행(Gait)2: 이마면에서의 운동형상학 (0) | 2025.04.06 |
---|---|
보행(Gait) 1 : 시상면에서의 운동형상학 (0) | 2025.04.06 |
인체 지레의 유형에 따른 역학적 이득 & 기능적 이득 (0) | 2025.02.16 |
어깨위팔리듬(Scapulohumeral rhythm) : 어깨 벌림에 대한 전반적인 운동형상학 (어깨복합체의 6가지 운동형상학적 원리) (0) | 2025.01.25 |
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 : 4개의 관절 & 각 관절의 뼈운동형상학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