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십자인대 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십자인대 손상 개요, 원인, 임상증상,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십자인대 손상> 개요 압십자인대(ACL) : 정강뼈 관절융기사이 앞면 -> 넙다리뼈 뒤가쪽관절융기 안쪽면 -> 과다한 무릎 폄 상태에서 정강뼈의 앞쪽 방향 어긋남과 돌림을 방지 뒤십자인대(PCL) : 정강뼈 뒤쪽관절융기사이 -> 넙다리뼈 앞안쪽관절융기 안쪽면 -> 과다한 무릎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의 뒤쪽 방향 어긋남을 방지 2. 원인 앞십자인대손상 : 과다한 무릎 폄, 무리한 정강뼈 안쪽돌림, 뒤에서 앞쪽으로 어긋남 뒤십자인대손상 : 무릎관절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 상단이 지면에 충돌 또는 정강뼈가 앞쪽에서 뒤쪽으로 어긋남 -> 교통사고로 인한 무릎굽힘 상태에서 정강뼈 상단이 자동차 데쉬보드에 충돌하여 뒤십자인대 손상이 많이 발생 = Dashboard injury 불행삼주징 : 앞십자인대, 안쪽반달연골, 안쪽곁인대가 동반파열 3. 임상증상 거대관절음, 출혈과 종창으로 기능적인 장애가 발생 심한 통증과 완전파열로 관절의 불안정성 발생, 걷게 되면 통증 악화 4. 평가 1) 물리치료적 검사 (1) 앞쪽끌림검사(앞십자인대손상검사) : 무릎관절을 90도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가 넙다리뼈부에서 5mm 이상 움직이면 앞십자인대 손상임 (2) 뒤쪽끌림검사(뒤십자인대손상검사) : 무릎관절을 90도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가 뒤쪽으로 움직이면 뒤십자인대 손상임 (3) 라크만검사 : 누운자세에서 무릎관절 15~20도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를 위 방향으로 당김 -> 움직이면 앞십자인대 손상 (4) 중쇠이동검사 : 무릎관절 완전 폄(0~20도 굽힘에서 시작할 수 있음/하지만 완전 폄이 가장 나음)) + 외반력 + 안쪽돌림력 -> 무릎관절 40도 폄(-> 조금씩 굽혀나가면서 이상반응 관찰/굽혔을 때 십자인대 손상 시 통증이 발생) -> 통증이나 비정상적인 소리가 발생되면 앞십자인대 손상 (5) 파동검사(Fluctiuation test) : 무릎뼈를 상하좌우 이동 시 무릎 안쪽아래에 삼출액으로 볼록하게 뛰어나옴 -> 십자인대 손상 의미 2) 의학적 검사 자기공명영상 : 십자인대 손상을 진단 관절경 검사 : 십자인대 손상 부위와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확진 -> 방사선 검사로는 손상 확인 불가능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1) 급성기 염증감소, 통증감소, 근 연축 감소시키기 위해 -> 무릎관절에 스프린트, 테이핑, 탄력붕대 등을 이용해 30도 정도 굽힘 상태로 고정해 관절 보호(P) 관절운동이나 다른 동작을 제한 -> 안정(R) 통증 감소 -> 냉치료(I) 탄력붕대 등을 이용하여 압박(C) 손상 부위를 심장부위보다 올림(E) -> 물렁조직 급성기 손상 시 실시 -> PRICE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2) 만성기 근육이완, 염증완화,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 말초 순환 증진을 위해 -> 얕은 열치료, 깊은 열치료, 전기치료 등 실시 (3) 수술 후 고정 앞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고정 : 무릎관절 30도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를 뒤쪽당김한 상태에서 4주간 석고로 고정 뒤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고정 : 무릎관절 30도 굽힘 상태에서 정강뼈를 앞쪽당김한 상태에서 석고로 고정 보조기 : 수술 후 약 6개월 이후에 환자의 상태에서 따라 제거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대한 빨리 제거해주는게 좋음) -> 또는 관절운동이 제한적으로 가능한 보조기를 착용시키기도 함. 2) 운동치료 (1) 앞십자인대 손상 약 5주후부터 관절제한성 운동 보조기를 착용 처음에는 30~90도 관절운동 범위에서 시작 -> 점진적 운동 범위 증가 -> 완전 관절운동범위로 확대 적용 (2) 뒤십자인대 손상 약 5주후부터 관절제한성 운동 보조기를 착용 처음에는 0~60도 관절운동 범위에서 시작 -> 점진적 운동 범위 증가 -> 완전 관절운동범위로 확대 적용 -> 무릎관절을 고정하였을 때 ① 근위축 예방을 위해 등척성 운동 ⓶ 고정 제거 후 점진적 근력 증강 ⓷ 무릎관절 주위 위축이나 유착 방지를 위해 마사지 -> 보행 및 체중부하운동 ① 수술 약 6주후 부분 체중부하운동 ⓶ 수술 후 3개월부터는 완전부하운동 3) 의학적 처치 부분파열 또는 삠으로 관절에 불안정성이 없다면 -> 석고 및 보조기 고정으로 보존적 치료를 함 무릎관절 안에 출혈 -> 관절천차를 하여 삼출액 제거 후 탄력붕대로 고정 -> 관절천자에서 십자인대손상에서는 혈액 성분 관찰됨 앞 및 뒤십자인대의 완전파열 -> 인대 재건 수술 실시 4) 예방 및 관리 과다한 무릎의 젖힘과 폄, 정강뼈의 안쪽 및 가쪽돌림, 무릎관절이 굽힘상태에서 정강뼈 상단이 지면에 충돌 등 무릎에 무리한 동작을 가하지 않도록 해야 함 |
<곁인대 손상>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개념 | 곁인대 손상 개요, 원인, 임상증상, 검사 및 평가, 중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곁인대손상> 개요 안쪽곁인대 :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가 밖굽이되는 것을 방지 가쪽곁인대 :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가 안굽이되는 것을 방지 손상빈도 : 안쪽곁인대 > 가쪽곁인대 2. 원인 안쪽곁인대 : 무릎관절에 외반력(Valgus force), 가쪽돌림력, 과다한 폄으로 손상 가쪽곁인대 : 무릎관절에 내반력(Varus force), 안쪽돌림력, 과다한 폄으로 손상 3. 임상증상 손상직후 : 통증과 근연축, 기능소실, 국소통증 등 -> 무릎관절을 굽힘 형태로 자세를 취하면 손상측 다리로 서기 자세가 더욱 불완전 12~24시간 경과 : 관절 공간에 출혈, 삼출액의 증가 -> 종창과 부기가 더욱 확대 급성기 이후 : 손상 부위에 압통은 점차 소실 , 무력감과 근위축 등으로 무릎관절의 불안정성 발생 / 운동 소실 악화 4. 검사 및 평가 1) 물리치료적 검사 (1) 밖굽이긴장검사(안쪽곁인대손상검사) 무릎 30도 굽힘 + Valgus force(벌림 방향으로 스트레스) -> 관절 안쪽 부위가 개방되면 안쪽곁인대 손상 (2) 안굽이긴장검사(가쪽곁인대손상검사) 무릎 30도 굽힘 + Varus force -> 관절 가쪽 부위가 개방되면 가쪽곁인대 손상 2) 의학적 검사 관절조영술, 관절경검사, 자기공명영상 등 5. 중재 1) 물리적 인자치료 (1) 급성기 염증감소,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를 위해 -> 무릎관절 스프린트, 테이핑, 탄력붕대 등으로 무릎 30도 굽힘 상태에서 고정 -> PRICE 실시 (냉치료는 기본!) (2) 만성기 근육이완, 염증완화, 통증감소, 근연축 감소, 말초순환 증진을 위해 얕은&깊은 열치료, 전기치료 등을 실시 |
구분 | 내용정리 | |
내용정리 | 주요내용 요점정리 | (3) 보조기 중재 안쪽곁인대 1~2도 손상 : 무릎 20~30도 굽힘 + 강제안굽이 시켜 원통보조기로 넙다리까지 고정 가쪽곁인대 1~2도 손상 : 무릎 20~30도 굽힘 + 강제밖굽이 시켜 원동보조기로 넙다리까지 고정 2) 운동치료 (1) 초기 : 고정 상태에서 넙다리네갈래근 등척성운동 -> 불용성 위축(=무용성 위축 ; 사용하지 않아서 위축되는 것)을 예방 / 삼출액 감소와 유착방지를 위해 마사지 (2) 수술 후 : 약 2주간 부분체중부하 운동, 이후엔 완전체중부하 훈련 실시 (3) 관절운동훈련 : 약 4주 이후에 실시 -> 제한성 운동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관절 30~90도 운동 범위 내에서 등속성 넙다리네갈래근 운동을 함 (4) 고정 기간 이후 ① 수동운동, 뻗침운동 실시 ⓶ 고유수용성운동(한발 서기), 민첩성 운동(한발 걷기) -> 곁인대 탄력성 회복 ⓷ 근력강화 운동 ⓸ 보행 : 부분체중 보행 -> 완전체중 보행 3) 의학적 처치 관절공간에 혈종 및 부기가 존재 -> 무릎관절 천자를 이용하여 제거 곁인대 봉합수술 번넬 방법 워셔스크류 방법 : 인대 닿는 곳이 단열된 경우 -> 못으로 박아버림 4) 예방 및 관리 스키, 축구, 씨름 등 운동 시 무리한 밖굽이 또는 안굽이 발생 동작하지 말기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여 일상생활 |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2판. 현문사. 2018
반응형
'근골격계 중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골격계중재 - 발목관절인대 손상, 아킬레스건 손상 (0) | 2022.03.17 |
---|---|
근골격계중재 - 반달연골 손상 (0) | 2022.03.17 |
근골격계중재 - 혈우병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궁둥구멍근증후군 (0) | 2022.03.16 |
근골격계중재 - 뼈관절염, 통풍성관절염 (0) | 2022.03.16 |
근골격계 중재학 - 류마티스관절염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