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들 잘 견디고 계시나요? 벌써 일주일의 절반이 지나가는 중이네요!
오늘은 팔뼈를 구성하는 뼈 중 팔이음뼈인 빗장뼈와 어깨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팔이음뼈에 대해 보기 전에 팔뼈를 구성하는 뼈들은 전체적으로 간단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팔뼈(Bone of upper limb) : 64개 | 팔이음뼈(Shoulder girdle) : 4개 | 빗장뼈(Clavicle) : 2개 어깨뼈(Scapula) : 2개 |
자유팔뼈(Skeleton of free upper limb) : 60개 |
위팔뼈(Humerus) : 2개 노뼈(Radius) : 2개 자뼈(Ulna) : 2개 손목뼈(Carpals) : 16개 손허리뼈(Metacarpals) : 10개 손가락뼈(Phalanx) : 28개 |
이제 팔이음뼈에 대해 살펴볼까요?
위 표에 나와있듯이 팔이음뼈에는 빗장뼈와 어깨뼈가 있습니다.
1) 빗장뼈(Clavicle, 쇄골)
● 가슴우리의 앞 & 위쪽 끝, 첫째 갈비뼈 바로 위에 수평하게 놓인 가느다란 막대모양의 뼈
● 인체에서 가장 먼저 뼈되기가 되는 뼈
● 복장뼈와 어깨뼈를 연결하여 팔을 가슴우리에 연결시키는 중요한 뼈
● 빗장뼈 안쪽 2/3는 앞으로 볼록하며 단면은 삼각기둥 모양임
● 빗장뼈 가쪽 1/3은 뒤쪽으로 볼록하며 단면은 편평함
● 빗장뼈 위쪽면은 매끈하나 아래쪽면에는 다소 거칠어 여러 종류의 인대와 근육이 부착함
→ 가쪽 아랫면에는 부리빗장인대(마름인대, 원뿔인대), 안쪽 아랫면에는 갈비빗장인대
● Sternal end(복장끝) : Sternum(복장뼈)의 Clavicular notch(빗장뼈패임)과 관절 ; Sternoclavicular joint(복장빗장관절)
● Arcomial end : Scapula(어깨뼈)의 Acromion(봉우리)와 관절 ; Acromioclavicular joint(봉우리빗장관절)
2) 어깨뼈(Scapula, 견갑골)
● 가슴우리 뒤쪽면에 위치함 (갈비뼈 2~7번째 사이에 위치 = 등뼈 2~7번 사이)
→ 어깨뼈 위각 : T2 / 어깨뼈 가시 : T3~4 / 어깨뼈 아래각 : T7
→ 등뼈의 가시돌기를 기준으로 어깨뼈는 3인치(약 7cm) 정도 떨어져 있음
● 어깨뼈 구조 : 2면(앞&뒤면), 3각(위각, 아래각, 가족각), 3 모서리(위모서리, 안쪽모서리, 가쪽모서리), 2 돌기(봉우리돌기, 부리돌기)
● 앞면
→ 어깨뼈밑오목(Subscapular fossa) : 어깨밑근(Subscapularis m.)의 Origin
● 뒷면
: 어깨뼈 가시(Spine)를 기준으로 위에는 가시위오목(Supraspinous fossa), 아래에는 가시아래오목(Infraspinous fossa)
→ 가시위오목(Supraspinous fossa) : 가시위근(Supraspinatus m.) Origin
→ 가시아래오목(Infraspinous fossa) :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m.) Origin
● 3 각 (위각, 아래각, 가쪽각)
→ 위각 (Superior angle) : T2 높이에 위치 /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 m.) Insertion
→ 아래각 (Inferior angle) : T7 높이에 위치 / 큰원근(Teres major) Origin
→ 가쪽각 (Lateral angle)
● 3 모서리(위모서리, 안쪽모서리, 가쪽모서리)
→ 위모서리(Superior border) : 혈관과 신경이 통과하는 어깨뼈패임(Scapular notch)가 있음
→ 안쪽모서리(Medial=Vertebral border) : 등뼈 가시돌기 기준으로 3인치 떨어져 있음
→ 가쪽모서리(Lateral=Axillary border) : 작은원근(Teres minor) Origin
● 2 돌기(봉우리돌기, 부리돌기)
→ 봉우리(Acromion) : 빗장뼈의 봉우리 끝과 관절 ; Acromioclavicular joint(봉우리빗장관절)
→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 부리위팔근(Corocobrachialis m.) & 위팔두갈래근 짧은 갈래( Biceps brachii Short head ) Origin / 작은 가슴근(Pectoralis minor) Insertion / 부리빗장인대&부리봉우리인대&부리위팔인대 부착지점
※ 어깨뼈의 가시와 봉우리는 몸 표면에서 쉽게 만져지며, 봉우리를 기준으로 아래로 1인치 & 안쪽으로 1인치 들어간 지점에서 약간 깊은 곳에서 부리돌기 촉진이 가능하다. 부리돌기는 새 부리처럼 생겼으며 돌출되어 있어 인대와 근육이 부착함.
● 접시오목(Glenoid fossa) = 관절오목 : 위팔뼈머리와 관절하여 어깨관절(Shoulder joint)을 이룸
→ Shoulder joint = Glenohumeral joint(오목위팔관절)
→ 접시오목을 기준으로 위에는 접시 위결절(Supraglenoid tubercle), 아래에는 접시아래결절(Infraglenoid tubercle)
→ 접시위결절(Supraglenoid tubercle) : Biceps brachii long head(위팔두갈래근 긴 갈래) Origin
→ 접시아래결절(Infraglenoid tubercle) : Triceps brachii long head(위팔세갈래근 긴갈래) Origin
빗장뼈와 어깨뼈는 팔이음뼈!
다음 시간에는 자유팔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이번 주도 파이팅! 출근.. 파이팅!!

참고자료 :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사람해부학 제4판/ 현문사
팔뼈(Bone of upper limb) 2 : 자유팔뼈(위팔뼈, 노뼈, 자뼈)
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오늘은 팔이음뼈를 이어 자유팔뼈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자유팔뼈에는 위팔뼈, 노뼈, 자뼈, 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가 있는데요오늘
informationforothers.tistory.com
'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뼈(Bone of lower limb) 2 : 자유다리뼈(Skeleton of free lower limb) (0) | 2025.03.22 |
---|---|
다리뼈(Bone of lower limb) 1 : 다리이음뼈(Pelvic girdle) (0) | 2025.03.16 |
팔뼈(Bone of upper limb) 3 : 자유팔뼈(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 (0) | 2025.02.26 |
팔뼈(Bone of upper limb) 2 : 자유팔뼈(위팔뼈, 노뼈, 자뼈) (0) | 2025.02.23 |
척추뼈의 구조 & 비교(목뼈, 등뼈, 허리뼈)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