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Physical Therapist Who Studies

예비물리치료사, 현직물리치료사분들 그리고 임상에 일하시 모든 치료사분들! 같이 공부해주세요! 혹시 내용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하고 수정하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뼈 공부

팔뼈(Bone of upper limb) 2 : 자유팔뼈(위팔뼈, 노뼈, 자뼈)

BANMU 2025. 2. 23. 16:05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팔이음뼈를 이어 자유팔뼈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유팔뼈에는 위팔뼈, 노뼈, 자뼈, 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가 있는데요

오늘은 위팔뼈, 노뼈, 자뼈에 대해 간단히 보겠습니다.


자유팔뼈(Free bones of upper limb) 

1) 위팔뼈(Humerus, 상완골)

● 팔뼈 중에서 가장 긴 뼈 (길이 : 약 27~29cm) / 위끝, 몸통, 아래끝으로 구분

Humerus

● 위끝 (Upper end)

- 안쪽에는 반구형태의 위팔뼈머리(Head of humerus)가 있어 어깨뼈의 관절오목(Glenoid fossa)과 관절하여 GH joint(오목위팔관절 = Shoulder joint)을 형성함.

- 위팔뼈 머리 아래 잘록한 곳 : 해부목

- 뒤가쪽에는 큰결절(Greater tubercle)이 있으며,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의 Insertion임.

- 앞안쪽에는 작은결절(Greater tubercle)이 있으며, 어깨밑근의 Insertion임.

- 큰결절과 작은결절의 연장선으로 큰 & 작은결절능선이 아래로 이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는 결절사이고랑(Intertubercular groove = Bicipital groove)이 형성되어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의 힘줄이 지나감. 그리고 넓은등근, 큰가슴근, 큰원근의 Insertion이기도 함.

 

 

● 위팔뼈몸통(Body or shaft)

- 몸통과 위끝의 이행부인 외과목이 있으며, 외과목은 골절이 잘 일어나는 부위임.

- 몸통의 위쪽부분은 원기둥모양이지만, 아래로 갈수록 삼각기둥모양임.

- 중앙의 가쪽에는 어깨세모근거친면(Deltoid tuberosity)이 있으며, 이는 어깨세모근(Deltoid)의 Insertion임.

- 몸통 뒷면에는 위안쪽에서 아래 가쪽으로 중앙부위를 비스듬히 주행하는 노신경고랑(Groove of radial nerve)이 있으며, 노신경(Radial nerve)이 지나감 / 노신경고랑 위 & 아래에는 각각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 & 안쪽갈래 Origin

 

 

● 아래끝(Lower end)

- 앞뒤로 납작하고 넓어지며, 안&가쪽으로 돌출된 안쪽위관절융기 & 가쪽위관절융기가 있음. (피부표면 위로 잘 만져지며 안쪽위관절융기가 더 돌출되어 있으며, 뒤쪽으로 자신경이 지나가서 팔꿈치 안쪽 충격 시 자신경 압박으로 저릿함)

- 안쪽위관절융기에는 주로 아래팔 근육 중 Flexor, 가쪽위관절융기에는  Extensor 근육들이 붙음.

- 위팔뼈 도르래(Trochlea)는 자뼈의 도르래패임(Trochlear notch)와 관절하여 위팔자관절을 형성

- 위팔뼈 작은머리(Capitulum)는 노뼈의 노뼈머리관절오목(Fovea of radial head)과 관절하여 위팔노관절을 형성

- 위팔뼈 노오목(Radial fossa)은 노뼈머리(Radial head)와 관절

- 위팔뼈 갈고리오목(Coronoid fossa)은 자뼈의 갈고리돌기(Coronoid process)와 관절

- 위팔뼈 팔꿈치오목(Olecranon fossa)은 자뼈의 팔꿈치머리(Olecranon)와 관절

 

 

2) 노뼈(Radius, 요골) & 자뼈(Ulna, 척골)

Radius & Ulna

 

 

(1) 자뼈(Ulna, 척골)

● 해부학적 자세에서 아래팔 안쪽(새끼손가락쪽)에 위치한 뼈로, 위끝이 아래끝에 비해 더 크며 노뼈보다 약간 긺.

 

● 위끝 (Upper end)

- 앞쪽에는 갈고리돌기(Coronoid process), 뒤쪽에는 팔꿈치머리(Olecranon)가 있으며, 그 사이에 도르래패임(Trochlear notch)이 있어 위팔뼈의 도르래와 관절하여 위팔자관절(Humeroulnar joint)을 형성함.

- 자뼈 위끝 가쪽에는 노패임(Radial notch)이 있어 노뼈머리와 관절하여 몸쪽노자관절(Proximal Radioulnar joint) 형성함.

- 앞 아래쪽에는 자뼈거친면(tuberosity of ulna)이 있으며, 위팔근(Brachialis m.)의 Insertion임.

 

● 몸통(Body or shaft)

- 기둥모양으로 아래로 갈수록 작다.

- 앞 & 뒤 뼈 모서리와 앞 & 뒤 & 안쪽면으로 구성됨.

- 자뼈의 가쪽모서리는 뼈사이모서리(Interosseous border)라고 하며, 뼈사이막이 부착함.

 

● 아래끝(Lower end)

- 자뼈머리(Ulnar head)가 있으며, 노뼈의 자패임(Ulnar notch)과 관절하여 먼쪽노자관절(Distal Radioulnar joint) 형성함.

- 안쪽에는 짧은 붓돌기(Styloid process)가 있음

 

※ 보통 긴뼈에는 머리가 몸쪽에 있으나 자뼈의 경우 머리가 먼쪽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응형

 

(2) 노뼈(Radius, 요골)
● 해부학적 자세에서 아래팔의 가쪽(엄지손가락쪽)에 있는 뼈로서 자뼈와는 반대로 위끝보다 아래끝이 2배가량 큼

 

● 위끝 (Upper end)

- 원반모양의 노뼈머리(Radial head)가 있으며, 위쪽면에는 오목한 노뼈머리관절오목(Fovea of radial head)이 있는데, 위팔뼈의 작은머리와 관절하여 위팔노관절(Humeroradial joint)을 형성함.

- 노뼈머리는 자뼈의 노패임(Radial notch)와 관절하여 몸쪽노자관절(Proximal Radioulnar joint) 형성함.

- 노뼈머리 아래쪽 잘록한 부분은 노뼈목(Neck of radius)이며, 노뼈목 아래 앞 안쪽에는 노뼈거친면(Tuberosity of radius)이 있어 위팔두갈래근( Biceps brachii )의 부착함.(Insertion)

 

● 몸통(Body or shaft)

- 자뼈와 같이 삼각기둥모양이며, 노뼈의 안쪽모서리도 뼈사이모서리로 뼈사이막이 부착함.

 

● 아래끝(Lower end)

- 위끝보다 두꺼우며 가쪽아래로 붓돌기가 돌출해 있음. 노뼈 붓돌기는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의 Insertion

- 붓돌기 안쪽 피부밑에서는 노동맥의 맥박을 촉진할 수 있음

- 노뼈 아래끝에 있는 노뼈의 자패임(Radial notch)은 자뼈머리와 관절하여  먼쪽노자관절(Distal Radioulnar joint) 형성함.

- 노뼈 아래끝의 아래관절면은 몸쪽손목뼈와 관절하여 손목관절(Wrist joint)을 이룸. 

(손목관절에 관한 건 팔뼈 3편에서 이어서 정리하겠습니다!)

<관절 간단히 정리>

오목위팔관절(Glenohumeral joint) 위팔뼈 머리(Head of humerus) + 어깨뼈의 관절오목(Glenoid fossa)
위팔노관절(Humeroradial joint, 평면관절) 위팔뼈의 작은머리(Capitulum) + 노뼈머리관절오목(Fovea of radial head)
위팔자관절(Humeroulnar joint, 경첩관절) 위팔뼈의 도르래(Trochlea) + 자뼈의 도르래패임(Trochlear notch)
몸쪽노자관절(Proximal radioulnar joint, 중쇠관절) 노뼈머리(Radial head) + 자뼈의 노패임(Radial notch)
먼쪽노자관절(Distal radioulnar joint, 중쇠관절) 자뼈머리(Ulnar head) + 노뼈의 자패임(Ulnar notch)

 


다음에는 자유팔뼈 중 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로 돌아오겠습니다.

다들 주말 푹 쉬시고, 월요일부터 다시 파이팅 하세요!

 

참고자료 :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사람해부학 제4판/ 현문사

 

팔뼈(Bone of upper limb) 3 : 자유팔뼈(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물리치료사입니다!오늘은 자유팔뼈 중 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다들 피곤하고 힘들겠지만 조금만 시간 내서 같이 공부해요!

informationforother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