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목뼈(Cervical vertebra) : 척추 중 가장 크기가 작고 가동성이 제일 큼. 머리를 지지하고 안정성을 유지
● 척수, 척추동맥의 통로 → 목뼈 손상 시 척수와 동맥 손상 동반 가능성↑
● 인구 70%가 목통증 경험
● 관절가동범위 감소, 두통, 기능적 제한, 장애, 목척수나 동맥 손상으로 상지 기능 제한 장애 발생 가능
2) Thoracic vertebra (등뼈) : 가슴우리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 비해 가동성이 적은 편이다.
※ 가슴우리는 심장과 폐 등 내장기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와 연관된 등뼈는 목뼈와 허리뼈에 비해 움직임이 적다
● 일차만곡 : Thoracic vertebra(등뼈), Sacrum– Kyphosis(뒤굽음)
● 이차만곡 : cervical vertebra(목뼈), Lumbar vertebra(허리뼈) – Lordosis(앞굽음)
※ 등뼈의 경우 뒤굽음증 변형이 잘 나타나고 목뼈와 허리뼈는 앞굽음증과 상대적으로 가동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디스크 문제로 논의됨
2. 응용해부학
1) 목뼈
머리를 여러 방향으로 다양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데 중요 역할
목뼈 가장 큰 특징 중 하나 : “가로구멍(C1~7)” → 척추동맥과 정맥이 지나가 뇌와 척수로 혈액 공급
C3~C6는 구조가 비슷해서 잘 구별해야 함
● 고리뼈(Atlas)
머리를 지지
척추뼈 몸통, 가시돌기가 없고 고리모양 형태임.
대신 앞고리와 뒤고리로 만들어지는 두 개의 큰 가쪽덩이(Lateral mass)가 있음
● 중쇠뼈(Axis)
치아돌기(Dens)가 있음
가시돌기가 두 갈래(C2~6) → 목반가시근 등 여러 근육 부착부위임
● 솟을뼈(C7)
목뼈 중 가장 큼 / 등뼈 특성을 많이 가짐
큰 가로돌기와 가시돌기를 가지고 있음
● 인대
고리뒤통수관절 연결 인대
앞세로인대 연장선인 앞고리뒤통수막
뒤세로인대 연장선인 덮개막
고리중쇠관절
고리가로인대 : 중쇠뼈의 치아돌기 고정 -> RA환자인 경우 파열될 수 있음
날개인대 / 십자인대 : 목 고정 역할
● 척추원반
C1~C2사이에는 없음 / 엉치뼈와 꼬리뼈 사이 없음
C2~C3 사이부터 L5~S1 사이까지 총 23개
척추뼈 몸통 사이 운동 가능 + 두 척추뼈 연결 + 안정
<구조>
속질핵 : 물 포함, 부하 분산&이동 / 충격흡수체 → 응력평형 / 척추몸통인 모세혈관 사이 액체교환
섬유테 : 15~20개 아교섬유층, 척추뼈 몸통 지탱 → 안정성, 콜라겐 섬유 방향 → 사선형으로 교차
● 근육
얕은 목근육 : 넓은 목근, 목빗근
목뿔위근육 : 두힘살근, 턱목뿔근, 붓목뿔근, 턱끝목뿔근
목뿔아래근육 : 복장목뿔근, 어깨목뿔근, 방패목뿔근, 복장방패근
앞쪽 깊은목근육 : 목긴근, 머리긴근, 가쪽머리곧은근, 앞머리곧은근, 앞목갈비근(C3~6), 중간목갈비근(C2~7), 뒤목갈비근(C5~7)
뒤쪽 얕은 머리 목근육 : 등세모근, 어깨올림근, 마름근
뒤쪽 깊은 머리 목근육
- 얖은층 : 머리널판근, 목널판근, 엉덩갈비근(목), 가장긴근(머리, 목), 가시근(머리, 목)
- 깊은층 : 목반가시근, 머리반가시근, 뭇갈래근, 돌림근, 가시사이근, 가로돌기사이근
뒤통수밑근육 : 큰뒤머리곧은근, 작은뒤머리곧은근, 위머리빗근, 아랫머리빗근
2) 등뼈
등뼈는 전체적으로 45도 뒤굽음 각도를 형성
등뼈의 가시돌기는 상대적으로 뾰족하고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음(T7이 가장 큰 각도를 가짐)
상부 3개 등뼈 가시돌기는 아래 몸통과 가시돌기가 같은 선상에 위치
→ T1~T9의 가시돌기 끝 : 아래등뼈몸통보다 더 아래쪽으로 놓임
→ T10~T11의 가시돌기 끝 : 극히 짧아져 아래등뼈몸통의 중간위치에 놓임
→ T12의 가시돌기 끝 : 12번째 등뼈몸통과 같은 높이선상에 위치
2) 가슴우리의 움직임
T1~T6 → 펌프질 동작 : 들숨 시 위로 당겨지고 날숨 시 아래로 내려가며 위아래로 움직임
T7~T10 → 양동이손잡이 동작 : 가로 또는 가쪽 용적만 넓힘
T11~T12 → 캘리퍼 동작 : 뜬갈비뼈가 양쪽으로 넓혀지며 가쪽 용적만 넓힘
척추뼈의 구조 & 비교(목뼈, 등뼈, 허리뼈)
1. 척주(Vertebral column) 머리와 골반을 연결하는 몸의 중심축 역할이자, 26개의 척추뼈와 23개의 척추사이원반으로 구성됨.목뼈(Cervical vertebrae) 7개, 등뼈(Thoracic vertebrae) 12개, 허리뼈(Lumbar vertebrae)
informationforothers.tistory.com
3. 신체검진
<목뼈>
1) 병력청취
→ 주관적인 정보 해당 / 질문으로 정도 얻음
(1) 나이/직업 : 가장 기본이 되는 것 / 목척추굳음증(Cervical spondylosis) - 25세 이상 호발(60%는 45세에서 85%는 65세 이상에서 발생)
(2) 주호소 : 목 주변 통증, 두통, 나른함, 불면증, 이명, 청각이상
(3) 손상기전 : 외상, 과사용, 생활패턴에 따른 손상 가능성 확인, 직업 등
(4) 통증의 부위와 양상 : 긴장성 두통, 압박감, 저린감 등의 다양한 통증 양상 확인
(5) 통증 증가요인과 감소요인
(6) 감각변화
국소적으로 머리, 목, 얼굴, 어깨, 손과 발 등 저림, 감각이상, 무감각 등을 확인하여 신경구조의 이상 가능성 확인
(7) 신경계 변화(CNS, PNS) : 뇌신경과 자율신경 손상 가능성 → 이명, 어지러움, 복시, 눈부심, 근력감소 등이 발생
C1~2 : 두통 유발
C3~4 : 횡경막 움직임 조절 → C4신경뿌리는 목 아래부위와 어깨부위 통증 유발
C5 : 위팔의 윗부분 통증 + 근육 약화(위팔두갈래근)
C6 : 손목폄근 약화
C7 : 위팔 뒤쪽 근육(위팔세갈래근) 근력 약화
C8 : 새끼손가락의 문제, 쥐는 동작이 어려움
(8) 관절의 문제, 과거력, 걸음, 호흡과 삼킴 및 말하기, 수면, 두통 등
2) 관찰
● 기운목(Torticolis) : SCM 근육의 짧아짐 문제
● 상위교차증후군 :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단축은 대각선 앞쪽의 가슴근의 단축도 유발
● 정렬의 문제 확인(앞, 뒤, 옆) -> 예를 들어 거북목
<등뼈>
1) 병력청취
2) 관찰(Observation)
머리에서 발끝까지 정상에서 벗어나는 어떤 부위가 있는지를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
C7 가시돌기 촉진 → 기준으로 다른 위치의 가시돌기 촉진
어깨뼈 가시 → T3 위치에 있어야 함
어깨뼈의 아래각 → T7~T9 가시돌기 사이에 위치(어깨뼈 크기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1) 뒤굽음증(Kyphosis) = 후만증
대부분 등뼈
과도한 뒤굽음증은 옆면 방사선 사진으로 측정한 T4~T12 사이를 콥 방법(Cobb method/Cobb’s angle)으로 측정
→ 40도 이상일 경우 뒤굽음증으로 판정
→ 뒤굽음증70도 이상 : 수술이 필요
① 굽은등(Round back)
가슴허리뼈 뒤굽음이나 등뼈 뒤굽음과 함께 골반 경사가 감소 동반(20도)
신체 중력 중심선을 보상&유지하기 위해서 구조적인 뒤굽음증이 발생
⓶ 쇼이에르만병
청소년기에 흔히 구조적 뒤굽음으로 발생(성인에게도 발생)
Thoracic vertebral body의 뼈연골염, 쐐기형태, 변형 원인 미상(밝혀지지 않음)
⓷ 낙타등(Hump back)
뒤굽음의 각 형성이 비교적 국소부위에 국한되고, 각이 크고 예리한 편 → '꼽추'
골반각도는 일반적으로 정상 / 등뼈 한 개 또는 두 개의 척추 사이에서 각 형성이 이루어짐
⓸ 편평등(Flat back)
척추의 유동성과 골반의 기울기(20도)가 감소
굽은등과 유사 / 뒤굽음 만곡이 있더라고 과도하지 않음
⑤ 미망인 낙타등(Dowager’s hump)
여성들의 폐경기 이후에 나타나는 골다공증의 결과
척추 앞면의 쐐기골절 출현 / 구조적 옆굽음증이 나타나면서 키가 줄어드는 것
(2) 옆굽음증(Scoliosis) = 측만증
허리뼈나 등뼈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가쪽 커브를 가지고 있는 것 -> ‘노트르담의 꼽추’
→ 일반적으로 옆굽음증은 한 방향으로 만곡이 나타나지만 심할 경우 등뼈는 오른쪽으로 옆굽음이 나타나고 허리는 왼쪽으로 옆굽음이 나타나 양쪽으로 만곡이 생기는 옆굽음증이 생길 수 있음
→ 목뼈에서는 기운목(Torticollis)이라고 함
● 비구조적(기능적)
→ 원인 : 나쁜자세, 정신적 원인, 신경뿌리 압박(통증을 피하기 위해 나쁜 자세를 취함), 척추 부분에서의 염증, 다리 길이 차이, 골반 주의근의 근 경련 등
→ 이 경우에는 원인만 판별해 내면 교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
● 구조적
→ 원인 : 유전성, 원발성 또는 쐐기 모양의 척추, 척추갈림이나 척추 분화
→ 옆굽음증이 나타났을 때 구조적인 면에서 척추뼈 몸통은 만곡의 볼록한 쪽으로 돌림되어 변형됨
→ 몸통의 볼록한 쪽으로의 돌림은 볼록 나온 쪽의 갈비뼈를 뒤쪽으로 나오도록 만들어 가슴우리를 좁아지도록 하는 결과가 나타남
→ 척추뼈 몸통이 볼록한 쪽으로 돌림됨에 따라 가시돌기는 반대쪽(오목한쪽)으로 돌아가게 됨. 오목한 쪽의 갈비뼈는 앞쪽으로 움직이면서 뒷면에서 보면 움푹 들어간 것처럼 보이고 가슴우리는 넓어짐
● 만곡의 정점
목뼈 옆굼음 또는 기운목 : C1~C6
가슴허리뼈만곡 : T12~L1
허리뼈만곡 : L2~L4
허리엉치옆굽음 : L5~S1
● 검사자가 해야 할 일
환자의 갈비뼈가 대칭적인지, 갈비뼈의 윤곽이 정상인지 관찰 → 각이 45도 이상일 경우 수술 필요 / 40도 이하일 경우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운동요법 등으로 자세교정을 함(특히 어린이 경우 조기 치료 중요)
근육의 경직도 관찰
어깨뼈 봉우리 끝점, 엉덩뼈능선의 양쪽 윗부분이 대칭적으로 같은 높이를 갖는지 관찰
(3) 호흡 : 검사자는 환자의 호흡을 쉽게 하도록 도와야 함
(4) 가슴부의 기형
① 새가슴 (Pigeon chest)
복장뼈가 앞과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가슴부의 전후 지름이 증가 / 선천적인 기형 / 호흡 장애를 줌
⓶ 오목가슴 (Funnel chest)
갈비뼈의 과다성장으로 복장뼈가 뒤쪽으로 눌린 선천적인 기형 / 앞뒤지름 감소 → 심장 위치가 전위됨 / 호흡장애 / 척추 뒤굽음증 유발 가능성
⓷ 술통형 가슴 (Barrel chest)
앞, 뒤쪽으로 튀어나온 것으로 앞뒤 지름이 증가 / 폐기종이 있을 때 나타남
4. 운동검사
<목뼈>
1) 능동/수동/저항운동검사 (등뼈와 비슷)
2) 신경학적 검사
(1) 신경계 완전성 검사
① 피부분절검사
신경뿌리 문제가 생긴다면 지배를 받는 피부분절에 감각이상을 호소
해당 피부분절 촉지로 감각이상 판단
⓶ 근육분절검사
C1~C2 : 목 굽힘 및 폄, 돌림
C3/뇌신경 11번(더부신경) : 목 가쪽굽힘
C4/더부신경 : 어깨 움츠림
C5 : 어깨 벌림,팔꿉 굽힘 → 위팔두갈래근
C6 : 손목 폄, 팔꿉 굽힘 → 위팔노근
C7 : 손목 굽힘, 팔꿉 폄 → 위팔세갈래근
C8 : 손가락굽힘, 엄지폄
T1 : 손가락 벌림과 모음
⓷ 뇌신경 기능 검사
뇌신경 5번 (삼차신경)
감각 : 얼굴(이마, 광대, 위턱, 아래턱, 볼 등을 촉지하여 문제 확인), 각막(실 한가닥으로 가볍게 터치)
운동 : 관자근, 깨물근 → 환자에게 나무막대를 이로 물라고 지시 후 저항을 줌
뇌신경 7번 (얼굴신경)
얼굴 표정 : 눈썹 올리기, 찌푸리기, 이보이기, 웃기, 눈 깜빡이기, 볼 부풀리기 등 표정 지음을 보고 확인
뇌신경 9번,10번(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발성 → 문제 시 쉰소리가 남
침삼키기 → 문제 시 연하곤란
구개음, 인두조절 → 환자에게 ‘에’라고 말하라고 지시 후 목젖의 위치나 입천장 움직임 관찰
(문제가 있는 반대쪽으로 목젖이 기울어져 있음)
뇌신경 11번(더부신경)
넓은등근, SCM 신경지배 : 근육의 힘과 크기를 측정
→ 넓은 등근 : 양 어깨를 위로 으쓱하게 시키고 저항을 줌
→ SCM : 고개를 한쪽씩 돌리게 한 뒤 저항
뇌신경 12번(혀밑신경)
혀의 움직임 : 혀의 위축, 두께 차이를 확인 / 발음 관찰, 안정 위치 관찰, 혀의 움직임 관찰(좌우/내밈)
(2) 신경가동성검사 (신경가동술, Neurodynamic technique (NDT))
팔신경가동성검사(상지신경가동술)/엘베이검사
● 정중신경, 앞쪽뼈사이신경
-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면서 어깨뼈의 내림을 유지하고 90도 어깨 벌림 상태에서 팔꿉 굽힘 + 아래팔 뒤침 + 손목&손가락을 폄 상태(특히 엄지 폄!) + 어깨관절의 Full 가쪽돌림 → 팔꿉을 천천히 폄하면서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
더 민감하게 하기 위해 목을 반대쪽으로 가쪽굽힘할 수 있음
● 자신경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면서 어깨뼈의 내림을 유지하고 어깨관절 90도 벌림하고 팔꿉굽힘 + 아래팔 엎침 + 손목폄 & 손가락 폄(특히 새끼손가락 폄!) + 어깨관절의 Full 가쪽돌림 → 손을 귀로 가지고 가면서 증상이 나타나는 확인
→ 이 자세에서는 자신경과 C8~T1 신경뿌리가 긴장하며 더 민감하게 하기 위해 목을 가쪽굽힘할 수 있음
● 노신경
-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면서 어깨뼈의 내림을 유지하고 어깨관절 안쪽돌림&10도 벌림 상태에서 팔꿉굽힘 + 손목은 자쪽방향으로 굽힘 + 손가락 굽힘 → 팔꿉을 폄하면서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
더 민감하게 하기 위해 목을 반대쪽으로 가쪽굽힘할 수 있음
→ 양성반응 : 신경뿌리 병증 의심
→ 검사 시 증상 증가 & 감소요인
목 가쪽굽힘(검사측) : 증상 감소
목 가쪽굽힘(반대측) : 증상 증가
3) 특수검사(Special test)
(1) 신경학적 병변검사
① 목 압박검사
검사방법 : 목 통증 존재 시 시행
아래측 방향으로 압박
가쪽 굽힘 후 축 방향으로 압박 → 척추사이구멍 압박 검사
가쪽굽힘과 폄 결합하여 압박 (= 스퍼링 검사)
+ 스퍼링검사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쪽으로 돌림하여 압박 → 최대경부 압박검사(최대척추사이구멍 압박검사)
+ 증상이 있는 쪽으로 머리만 돌림 → Jackson 압박검사
● 결과판정 : 방사통 또는 국소적인 통증 발생 시 양성 / 신경 뿌리 병변 의심
⓶ 목 떼어당김 검사(신연검사)
검사방법 : 목 통증 존재 시 시행 / Distraction 시 반응 확인 (앉은자세&누운자세에서 실시)
● 결과판정
- Distraction 시 통증 감소하면 양성 → 신연 시 신경뿌리에 압력이 감소했다는 뜻
국소통증 증가 → 근육, 인대, 관절주머니 손상
국소통증 감소 → 후관절 부딪힘 증후군이 있음을 의미
⓷ 바코디 징후(어깨벌림 검사)
검사방법 : 목 통증 존재 시 시행 / 손, 아래팔을 머리 위로 위치 → 통증 감소 시 양성
● 결과판정
통증 감소 → 아래 목신경뿌리 손상으로 인한 신경병증
피부분절 분포를 통해 아래 목신경 어디가 문제인지 각 신경뿌리 수준 감별 가능
⓸ 어깨내림 검사
검사방법 : 신경뿌리, 위팔신경얼기의 염증으로 인한 증상 의심환자에게 적용
→ 환자 : Sitting position에서 머리 가쪽 굽힘
→ 검사자 : 한 손으로는 머리 가쪽 굽힘 고정, 다른 손으로는 아래쪽 방향으로 반대쪽 어깨 내림
결과판정 : 신경뿌리 통증 발생 시 양성 → 어깨 부분 통증 시 신경뿌리 손상 의심
⑤ 티넬징후
⑥ 초인종징후
(2) 불안정성 검사
① 소토-홀 검사
검사방법 : 누운 자세에서 검사자에 의해 환자 목굽힘 유도 후 환자 손을 교차하여 가슴에 얹고 치료사가 가슴 압박
● 결과판정
신경뿌리 통증 & 국소통증 발생 시 양성
신경뿌리 통증 : 신경뿌리 긴장 의미
국소통증 : 관절이나 뼈의 이상(목, 등뼈 부위 삠 / 후관절증후군 / 관절 내 장애)
⓶ 샤프-펄스 검사
검사방법 : 앉은 자세에서 환자 이마와 환자의 중쇠뼈 가시돌기에 손을 각각 위치하고 목 끄덕이기 동작 수행 시 이마를 뒤쪽으로 압박했을 때 머리가 뒤로 미끄러짐이 느껴지면 양성 → 아탈구 상태의 고리뼈가 정상위치로 복귀 의미
● 결과 판정
고리뼈 아탈구
치아돌기 골절
가로돌기 인대 파열
→ 뚝 소리가 날 수 있으며 머리 굽힘 시 삼킴 곤란, 현기증, 언어장애, 복시와 같은 증상 발생 가능성↑
⓷ 가동성 검사
검사방법 : 뒤에서 앞쪽으로 분절 가동성 검사
환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엄지로 가시돌기 촉지하여 몸통을 이용하여 힘을 부여해 척추분절의 움직임 정도(과가동성, 정상, 저가동성)와 통증을 확인 / 검사 시 척수신경과 뿌리를 유의하며 검사
● 결과판정 : 관절의 움직임 전체의 제한 / 한쪽 제한이 있으면 척추의 뼈손상 의심
4) 혈관성 병변을 위한 검사
목 내부 척추동맥 손상&압박 시 뇌줄기로의 혈액공급 방해&감소 → 얼굴 쪽 병변증상, 현기증 등 나타남
※ 머리 외상, 편타증, 교통사고, 급성외상손상 병력 존재 시 가동술 주의
머리위치 | 혈액흐름 | 신경학적 공간 |
중립위치 | 정상 | 정상 |
굽힘 | 정상 | 정상 |
폄 | 대부분 정상 | 감소 |
가쪽굽힘 | 같은쪽은 약간감소, 반대쪽은 정상 | 같은쪽은 감소, 반대쪽은 증가 |
돌림 | 같은쪽은 약간감소, 반대쪽은 현저히 감소 | 같은쪽은 감소, 반대쪽은 증가 |
폄 & 돌림 | 양쪽 모두 감소, 반대쪽이 좀 더 많이 감소 | 양쪽 모두 감소, 같은쪽이 좀 더 많이 감소 |
굽힘 & 돌림 | 양쪽 모두 감소 | 같은쪽은 감소, 반대쪽은 증가 |
● 척추동맥검사(VBI test)
검사방법 : Supine position에서 환자 머리를 치료대 바깥으로 나오도록 하고 Neck extension + Rotation 시킨 후 10~30초 정도 유지함.
검사판정 : 이 검사 자세는 반대쪽 척추동맥을 막아 같은쪽 척추동맥에 문제가 있는지와 뇌바닥동맥에서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보는 거기에 삼키기, 맹점, 의식소실, 시야가 좁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면 즉시 중단하고 양성판정
(검사동안 실신 가능성이 있기에 환자를 계속 주시해야 함)
5) 기타 주요 검사
(1) 목 굽힘근육 지구력 검사 : Supine position에서 손가락 4마디 정도로 머리를 들어 올린 후 Chin-in 자세로 버티기
→ 40초를 버티지 못하거나 버티면서 턱이 계속 들린다면 목 깊은 근육이 약해져 있는 것임.
(2) 공간잠식병변/척추내압상승검사
발살바 검사
검사방법 : 앉은 자세에서 숨을 들이킨 후 숨을 참고 최대한 힘을 주면서 자세를 유지 → 발살바현상으로 인해 배안쪽&경질막 내 압력 상승
● 결과판정
다리 방사통 : 양성 → 공간점유병소, 추간판탈출증, 척추사이구멍잠식을 의심
검사 시 주의점 : 현기증으로 인한 실신 가능성이 있기에 환자 주시해야 함
<등뼈>
1) 능동운동검사
(1) 앞쪽굽힘검사 (머리 뒤에 손깍지 끼고 굽힘)
앞쪽굽힘 정상 ROM : 20~45도
환자의 C7~T12까지 척추길이를 측정하고 앞쪽굽힘 후에 한번 길이를 측정하여 두 길이의 차이를 구함
→ 정상 : 약 2.7cm
→ C7~S1까지 측정 시 정상 : 10cm
(등뼈뿐만 아니라 허리뼈의 움직임도 검사한 것이라 T12~S1 사이에서만 약 7.5cm 정도의 움직임이 일어남)
+ 관련검사 (척추 앞쪽굽힘 검사의 3번째 방법)
일어선 상태에서 환자가 무릎을 편 상태로 몸통을 굽히고 발가락에 손이 닿게 하는 자세를 취함
→ 손가락 끝에서 바닥까지의 거리를 재어 기록
(2) 폄 검사 (머리 뒤에 손깍지 끼고 폄)
폄의 정상 ROM : 25~45도
C7~T12 가시돌기를 기준으로 검사
그냥 측정한 길이와 폄 상태에서 측정한 길이 차이를 구함 → 정상 : 약 2.5cm
(3) 가쪽굽힘검사 (왼쪽,오른쪽)
좌우 가쪽굽힘 정상 ROM : 20~40도
머리뒤에 손깍지 끼고 가쪽 굽힘
+ 관련검사 (2번째 가쪽굽힘 검사)
환자는 선 자세에서 가쪽굽힘하여 가능한 만큼 양쪽 다리 가쪽으로 손가락을 내려 보라고 지시
→ 앞뒤쪽굽힘이 나타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줄자 등을 이용하여 각각 양쪽 손가락이 얼마나 내려가는지 측정
(4) 돌림검사 (왼쪽, 오른쪽)
좌우 돌림 정상 ROM : 35~50도
환자에게 양손을 앞쪽으로 교차시키고 양쪽으로 돌려보도록 지시
→ 등뼈 뿐만 아니라 허리뼈와 엉덩관절 움직임이 함께 일어남을 명시하고 엉덩관절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모서리에 앉아서 검사하는 것이 좋음
(5) 척추뼈관절의 확장범위 (관련검사) → 4번째 가쪽 갈비뼈 사이 간격, 겨드랑 부위, 유두, 열 번째 갈비뼈
(최대 들숨에서 숨을 참고 측정/ 최대 날숨에서 측성 → 너비 차이 : 3~7.5cm(1~3inch))
2) 수동검사
3) 저항검사
2) 신경학적 검사
T4~5 : 유두 주위의 통증
T7~T8 / T10~T11 : 상복부 주위의 통증
T10~T11 : 배꼽 주위의 통증
T12 : 샅 주위의 통증
참고자료 :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2판. 현문사. 2018
'근골격계 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손목관절) (0) | 2022.03.16 |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팔꿉관절)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어깨복합체)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골반의 평가 및 검사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허리 평가 및 검사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