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팔꿉관절의 검사 및 평가
1. 개요
● 팔꿉관절 : 위팔(Humerus)와 아래팔(Ulna, Radius)이 연결되는 부위
● 손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절이 움직여 조절 -> 부드럽고 유연한 움직임 형성!
-> 팔꿉의 굽힘과 폄 운동을 통해 팔의 기능적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며, 손의 움직임을 좀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팔의 높이와 길이를 조절
● 음식먹기, 손 뻗기, 던지기, 개인위생과 같은 중요한 많은 동작을 위해 사용
2. 응용해부학
1) 인대
● 위팔자관절, 위팔노관절은 자쪽곁인대(UCL=안쪽곁인대, MCL)와 노쪽곁인대(RCL=가쪽곁인대, LCL)가 팔꿉관절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 -> 내/외측의 안정성 제공!
● 자쪽곁인대 (-> 과도한 Valgus 방지)
- 앞면부 : 과도한 폄 + 과도한 밖굽이 방지
- 뒷면부 : 과도한 굽힘 + 과도한 밖굽이 방지
- 사선부
● 안쪽곁인대 (-> 과도한 Varus 방지)
● 고리인대(Annular ligament) : 엎침과 뒤침 시 노뼈 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줌!
2) 근육
● 팔꿉관절 굽힘근 : 위팔두갈래근, 위팔근, 위팔노근
● 팔꿉관절 폄근 : 위팔세갈래근, 팔꿈치근
● 손목&손가락 굽힘근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에 붙음(이는곳) => 손상 시 주로 Golfer’s elbow 유발
● 손목&손가락 폄근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에 붙음(이는곳) => 손상 시 주로 Tennis elbow 유발
3) 신경 : 노신경, 자신경, 정중신경
-> 자신경은 팔꿈치굴(Cubitus tunnel)을 지나가는데 만약 팔꿈치굴이 부어오르면 자신경의 압박으로 아래쪽 손 부위에서 저림이나 심하면 갈퀴손가락(Claw hand deformity) 발생
4) 동맥 : 위팔동맥, 노동맥, 자동맥
3. 신체검진
1) Carrying angle(운반각)
● 정상 : 여자 – 10~15도 / 남자 – 5~10도
● 비정상
30도 이상 -> 과도한 밖굽이 팔꿉
-5도 -> 안굽이 팔꿉
-15도 -> 총개머리판 변형(Gunstock deformity)
-15(총개머리판 변형) < -5(안굽이 팔꿉) < 10~15(정상) < 30(과도한 밖굽이 팔꿉)
2) 팔꿉관절의 굽힘과 폄 & 아래팔의 엎침과 뒤침의 기능적 가동범위
(1) 팔꿉관절의 굽힘과 폄
① 생리적 가동범위 : 0 ~ 160,170도
⓶ 기능적 가동범위 : 30 ~ 130도 ->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기능적 가동범위를 먼저 회복시켜주는게 좋음
(2) 아래팔의 엎침과 뒤침
① 생리적 가동범위 : 75 ~ 85도
⓶ 기능적 가동범위 : 50 ~ 50도
3) 특수검사
(1) 물렁조직병변검사
① 인대성 밖굽이 및 안굽이 불안정성 검사
● 검사방법
- 밖굽이 불안정성 검사 : 팔꿉관절 고정, 다른 손으로 팔꿉관절 밖 -> 안으로 스트레스(Valgus stress)
- 안굽이 불안정성 검사 : 팔꿉관절 고정, 다른 손으로 팔꿉관절 안 -> 밖으로 스트레스(Varus stress)
● 결과판정
- Valgus stress : 느슨함 통증 -> 안쪽 곁인대 불안정성/염증
- Varus stress : 느슨함 통증 -> 가쪽 곁인대 불안정성/염증
⓶ 동적 밖굽이 스트레스 검사
● 검사방법
- 환자 : 어깨관절 벌림 + 팔꿉관절 최대한 굽힘
- 검사자 : 팔꿉관절에 밖굽이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팔꿉관절을 폄
● 결과판정
- 70~120도 사이에 통증 발생
- 안쪽곁인대 부분 열상
⓷ 밀킹검사(Milking test)
● 검사방법
- 환자 : Sitting -> 팔꿉관절 90이상 굽힘 + 아래팔 뒤침
- 검사자 : 환자의 엄지를 잡은 후 당기면서 팔꿉관절 밖굽이 스트레스 부여
● 결과판정
- 안쪽 부위 느슨함(과도한 이완성)과 통증
- 안쪽 곁인대 부분 열상
※ 가쪽위관절융기염(Lateral epicondylitis) : 가쪽위관절융기에 염증으로 인한 Tennis elbow!
⓸ 가쪽위관절융기염검사
ⅰ) 코젠검사
● 검사방법
- 검사자 : 한손으로 환자의 가쪽위관절융기부위를 고정 / 다른 손은 환자의 손등을 잡고 환자가 손목 폄을 할 때 반대방향(굽힘)으로 저항! -> 이때 가쪽위관절융기부위를 약간 압박
● 결과판정 : 가쪽위관절융기 부위에 통증/염증 -> Tennis elbow
ⅱ) 밀검사
● 검사방법
- 검사자 : 한 손은 가쪽위관절융기에 엄지를 대고 환자의 팔꿉관절 굽힘+아래팔 엎침+손목 굽힘 상태 유지하다가 팔꿉관절을 천천히 편다
● 결과판정 : 가쪽위관절융기 부위에 통증/염증 -> Tennis elbow
ⅲ) 마우드슬리검사(마우즐리검사)
● 검사방법 : 환자는 팔꿉관절 폄한 상태에서 가운뎃손가락 폄 유지 / 검사자는 가운뎃손가락에 저항을 가함
● 결과판정 : 가쪽위관절융기부에 심한통증/염증 -> Tennis elbow
※ 안쪽위관절융기염(Medial epicondylitis) : 안쪽위관절융기부에 염증 -> Golfer’s elbow
⑤ 안쪽위관절융기검사
ⅰ) 역코젠검사
● 검사방법
- 검사자 : 팔꿉관절을 몸통에 고정시키기 한 손으로 안쪽위관절융기에 엄지 위치 -> 환자가 아래팔 뒤침시키고 손목관절 굽힘시킬 때 검사자는 반대방향(폄)으로 저항
● 결과판정 : 안쪽위관절융기 부위에 심하 통증 / 염증 -> Golfer’s elbow
ⅱ) 역밀검사
● 검사방법
- 환자는 팔꿉관절 굽힘 + 아래팔 뒤침 + 손목 폄 상태를 유지하고 검사자는 한 손을 환자의 팔꿈치 아래에 놓고 다른 손은 손바닥에 위치시켜 팔꿉관절을 천천히 편다.
● 결과판정 : 안쪽위관절융기 부위에 심한 통증 / 염증 -> Golfer’s elbow
(2) 말초신경병변검사
① 팔꿉관절 굽힘검사
● 검사방법
- 환자 : Sitting -> 스스로 어깨관절을 편하게 벌림 + 팔꿉관절 완전 굽힘, 손목&손가락관절 폄(3~5분 유지)
● 결과판정
- 아래팔과 자신경 지배영역의 이상감각, 저린감각 증상
- 팔꿈치굴 손상을 의심 -> 자신경증후군
⓶ 원엎침근증후군
● 검사방법
- 환자 : Sitting -> 팔꿉관절 90도 굽힘
- 검사자 : 환자의 팔꿉관절을 폄하면서 환자의 엎침동작에 대하여 반대방향(뒤침)으로 저항
● 결과판정
- 정중신경이 지배하는 아래팔과 손부우에 감각이상과 저린감각 증상
- 원엎침근증후군 의심 -> 정중신경 압박
=> 반드시 건강한 쪽과 비교해봐야 함
(3) 탈구검사
※ 노뼈머리 아탈구(Radial head subluxation/dislocation), 당김팔꿉관절 탈구(Pulled elbow), 보모팔꿈치(Nursemaid’s elbow) : 소아가 넘어지거나 떨어지면서 팔을 짚거나 부모가 아이를 갑자기 잡아당기는 경우 발생 -> 소리가 날 수도 있고 안날 수도 있는데 Annular ligament의 손상으로 노뼈머리가 아탈구됨!
=> 아이는 통증을 호소하며 팔꿉관절을 굽히고 아래팔을 안쪽돌림된 상태로 몸에 붙여 움직이지 않으려 함
=> 중재법
① 아이의 팔꿉관절을 완전히 폄 다음 아래팔 뒤침시키고 그대로 굽힘시킴
⓶ 팔꿉관절을 완전히 펴서 약간 견인시켜 과다엎침시킴
(아이가 울어도 당황하지 말고 이행하기)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2판. 현문사. 2018
'근골격계 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골격계진단 - 다리의 평가 및 검사(엉덩관절) (0) | 2022.03.16 |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손목관절)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어깨복합체)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골반의 평가 및 검사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허리 평가 및 검사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