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들 토요일을 만끽하고 계신가요. 저는 또 감기에 걸려서 골골되고 있네요..
오늘은 저번시간의 다리이음뼈를 이어 자유다리뼈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읽으면서 복습의 시간이 되시길!

자유다리뼈(총 60개)
1) 넙다리뼈(Femur) : 인체에서 가장 긴 뼈로 위끝, 몸통, 아래끝으로 구분
<위끝(Upper end)>
● 거의 구형에 가까운 넙다리뼈 머리(Head of femur / Femoral head)가 있으며, 볼기뼈의 절구(Acetabulum)와 관절하여 엉덩관절(Hip joint)을 형성함.
● 넙다리뼈 머리 중앙에는 작은 홈인 넙다리뼈머리오목(Fovea of femoral head)이 있으며, 넙다리뼈머리인대가 부착함.
● 넙다리뼈 머리 아래로는 잘록한 넙다리뼈목이 있으며, 이곳은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에게는 골절 호발 부위임.
<몸통(body)>
● 가쪽 위끝부분에는 큰돌기(Greater trochanter), 안쪽 아래뒷부분에는 작은 돌기(Lesser trochanter)가 돌출되어 있음
→ 큰돌기에 붙는 (Insertion) 근육: 엉덩허리근(Iliopsoas m. ; 큰허리근(Psoas major) + 엉덩근(Iliacus)), 궁둥구멍근(Piriformis), 위쌍동근(Superior gemellus), 아래쌍동근(Inferior gemellus), 속폐쇄근(Obturator internus), 바깥폐쇄근(Obturator externus), 넙다리네모근(Quadratus femoris)
→ 작은돌기에 붙는(Insertion) 근육 :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 작은볼기근(Gluteus minimus)
● 돌기 사이에는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앞쪽에는 돌기사이선(Intertrochanteric line), 뒤쪽에는 돌기사이능선(Intertrochanteric crest)이 있음
● 넙다리뼈 몸통 앞쪽은 매끈하지만, 뒤쪽은 중간부에 세로로 길게 돌출된 거친선(Linea aspera)이 있는데, 주로 모음근들(Adductor)의 Insertion 부위임.
● 거친선은 두 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쪽선은 두덩근선(Pectineal line)의 연장선으로 두덩근선은 두덩근(Pectineus)의 Insertion 부위이며, 가쪽선은 위쪽으로 볼기근거친면(Gluteal tuberosity)으로 큰돌기까지 연결되는데, 볼기근거친면은 큰볼기근(Gluteus maximus)의 Insertion 부위임.
● 거친선 아래로는 안&가쪽관절융기로 연결되며, 아래끝 뒤쪽에는 오금면(Popliteal surface)을 형성함.
<아래끝(Lower end)>
●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가 있으며, 정강뼈의 안&가쪽관절융기의 위쪽면과 관절하여 정강넙다리관절(Tibiofemoral joint)을 형성함
● 넙다리뼈 앞쪽 아래끝에는 무릎면(Patellar surface)이 있으며 무릎뼈(Patella)와 관절하여 무릎넙다리관절(Patellofemoral joint)을 형성함.
★ 무릎관절(Knee joint) : 정강넙다리관절(Tibiofemoral joint) + 무릎넙다리관절(Patellofemoral joint)
2) 무릎뼈(Patella) : 무릎 앞면에 있는 사람에게 가장 큰 종자뼈(Sesamoid bone)
● 넙다리네갈래근(Quadriceps femoris)의 힘줄 속에 위치하며, 밤 모양의 납작뼈임
● 앞쪽면은 다소 볼록하고 거칠지만, 뒤쪽면은 넙다리뼈의 무릎면과 관절할 수 있는 매끄러운 관절면이 있음
● 무릎뼈은 위쪽이 넓어 무릎뼈바닥 Base)이라고 하고, 아래쪽은 뾰족하여 무릎뼈끝(Apex)이라고 함.
3) 정강뼈(Tibia) & 종아리뼈(Fibula)
정강뼈(Tibia) : 종아리 안쪽을 구성을 구성하는 뼈 | 종아리뼈(Fibula) : 정강뼈 가쪽에 위치한 길고 가느다란 뼈 |
<위끝> ● 안쪽관절융기 & 가쪽관절융기가 있음 → 넙다리뼈의 안 & 가쪽관절융기와 관절하여 무릎관절 구성 ● 융기 사이에는 융기사이융기(Intercondylar eminence)가 있으며, 앞&뒤십자인대가 부착함 ● 가쪽관절융기 뒤 아래쪽에는 타원형의 종아리뼈 관절면이 있어 종아리뼈머리오목과 관절하여 몸쪽정강종아리관절 형성 <몸통> ● 3모서리 & 3면으로 구성된 삼각기둥 모양으로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앞모서리는 피부 위로 쉽게 촉진되기에 충돌 시 타박상 호발 부위임. ● 정강뼈 몸통 앞쪽면 위끝에는 정강뼈거친면(Tibial tuberosity)이 융기되어 넙다리네갈래근 힘줄의 연속인 무릎인대가 부착함 <아래끝> ● 안쪽에는 안쪽복사(Medial malleolus)가 있으며, 가쪽에는 종아리패임(Fibular notch)이 있어 종아리뼈아래끝과 관절하여 먼쪽정강종아리관절을 형성함. ● 정강뼈의 아래끝 아래관절면 & 가쪽을 바라보고 있는 안쪽복사관절면 & 안쪽을 바라보고 있는 종아리뼈의 가쪽복사관절면은 목말뼈(Talus)의 도르래(Trochlea)와 관절하여 발목관절(Ankle joint)을 형성함. |
<위끝> ● 종아리뼈머리(Head of fibula)가 팽대되어 있음 ● 종아리뼈머리의 안쪽에는 종아리뼈머리오목이 있어 정강뼈의 종아리뼈관절면과 관절 <몸통> ● 매우 가늘고 3모서리 & 3면 & 1능선으로 구성됨 <아래끝> ● 가쪽에는 가쪽복사(Lateral malleolus)가 있으며, 종아리뼈의 가쪽복사관절면과 정강뼈의 아래관절면 & 안쪽복사관절은 목말뼈의 도르래와 관절하여 발목관절을 형성함. |
4) 발목뼈(Tarsal bone) & 발허리뼈(Metatarsal bone) & 발가락뼈(Phalanx)
● 발목을 구성하는 7개의 뼈
몸쪽 발목뼈 (Proximal tarsal bone) |
목말뼈(Talus) |
발꿈치뼈(Calcaneus) | |
발배뼈(Navicular) | |
먼쪽 발목뼈 (Distal tarsal bone) |
쐐기뼈(Cuneiform) - 안쪽 쐐기뼈 (Medial cuneiform (1st)) - 중간 쐐기뼈 (Intermediate cuneiform (2nd)) - 가쪽 쐐기뼈 (Lateral cuneiform (3rd)) |
입방뼈(Cuboid) |
(1) 목말뼈(Talus)
● 발꿈치뼈 위에 얹혀 있으며, 위쪽면의 목말뼈의 도르래(Trochlea)는 정강뼈의 아래관절면&안쪽복사면, 종아리뼈의 가쪽복사면과 관절하여 발목관절(Ankle joint)을 형성함.
● 목말뼈의 앞으로 내민 목말뼈 머리는 발배뼈(Navicular)와 관절 → 목말발배관절(Talonavicualr joint) 형성함.
● 목말뼈의 아래쪽면은 발꿈치뼈(Calcaneus)와 관절 → 목말밑관절(Subtalar joint) 형성함.
(2) 발꿈치뼈(Calcaneus)
● 발목뼈 중에서 가장 큰 뼈로 발뒤꿈치를 형성함.
● 뒤쪽으로 발꿈치뼈융기(Calcaneal tuberosity)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곳은 아킬레스힘줄이 닿는 곳임
● 발꿈치뼈 위쪽면은 목말뼈와 관절하는 3개의 관절면이 있음(앞 & 중간 & 뒤목말관절면)
→ 특히 중간목말관절면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목말뼈를 보다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목말받침돌기(Sustentaculum tali)가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음
● 발꿈치뼈 가장 앞쪽면은 입방뼈(Cuboid)와 관절 → 발꿈치입방관절(Calcaneocuboid joint) 형성함.
★ 목말발배관절과 발꿈치입방관절은 가로발목뼈관절(Transverse tarsal joint)을 구성하며, 발목뼈중간관절(Midtarsal joint) 또는 쇼파르 관절(Chopart's joint)이라고 함.
(3) 발배뼈(Navicular)
● 발의 안쪽에 있는 배 모양의 뼈
● 몸쪽관절면은 목말뼈와 관절(목말발배관절)하고, 먼쪽관절면은 앞쪽에는 쐐기뼈들과 관절(쐐기발배관절)하고 옆으로는 입방뼈와 관절(입방발배관절)
(4) 쐐기뼈(Cuneiform)
● 쐐기 모양의 뼈로서 안쪽 & 중간 & 가쪽으로 총 3개임.
● 몸쪽관절면은 발배뼈와 관절(쐐기발배관절)하고 먼쪽관절면은 각각 첫째, 둘째, 셋째 발허리뼈와 관절함.
(5) 입방뼈(Cuboid)
● 발의 가쪽에 있는 입방형 뼈
● 몸쪽관절면은 발배뼈와 발꿈치뼈와 관절하고, 먼쪽관절면은 넷째와 다섯째 발허리뼈와 관절함.
★ 발허리뼈와 쐐기뼈 & 입방뼈 사이 관절을 발목발허리관절(tarsometatarsal joint)이라고 하며, 리스프랑 관절(Lisfranc's joint)이라고도 불림.
★ 발허리뼈는 발바닥과 발등을 이루는 5개의 뼈이며, 엄지발가락 발허리뼈 머리 부분 아래쪽에는 2개의 종자뼈가 위치함.
★ 발가락뼈는 첫마디뼈, 중간마디뼈, 끝마디뼈로 구성되며, 엄지발가락에는 중간마디뼈가 없다 (손과 동일)
※ 발바닥활(Plantar arch, 족궁)
● 발목뼈와 발허리뼈는 체중을 지탱하고 보행을 편리하도록 발바닥이 세로 & 가로방향으로 아치 형태의 발바닥활을 형성하고 있으며 세로발바닥활은 안&가쪽으로 2개가 있음
세로발바닥활 (Longitudinal arch) |
안쪽세로발바닥활 | 발꿈치뼈-목말뼈-발배뼈-쐐기뼈-1,2,3번째 발허리뼈 |
가쪽세로발바닥활 | 발꿈치뼈-입방뼈-4,5번째 발허리뼈 | |
가로발바닥활 (Transverse arch) |
안쪽-중간-가쪽 쐐기뼈 - 입방뼈 |
다리뼈까지 모두 완료하셨군요!
제가 생각해 보니 머리뼈와 복장뼈, 갈비뼈 등 몇 개 빼먹은 게 있어서
다음 시간에는 빼먹은 뼈들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다들 즐거운 주말 보내시길~

참고자료 :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 사람해부학 제4판/ 현문사
'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뼈 구조 : 뇌머리뼈 & 얼굴뼈 (0) | 2025.04.18 |
---|---|
다리뼈(Bone of lower limb) 1 : 다리이음뼈(Pelvic girdle) (0) | 2025.03.16 |
팔뼈(Bone of upper limb) 3 : 자유팔뼈(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 (0) | 2025.02.26 |
팔뼈(Bone of upper limb) 2 : 자유팔뼈(위팔뼈, 노뼈, 자뼈) (0) | 2025.02.23 |
팔뼈(Bone of upper limb) 1 : 팔이음뼈(빗장뼈, 어깨뼈)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