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무릎관절의 검사 및 평가
1. 개요
● 외상 또는 스포츠활동 등에 의해 손상받기 쉬운 관절
● 정강뼈, 넙다리뼈와 연결, 긴 지렛팔 끝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손상 위험 많음
● 무릎의 굽힘과 폄이 주로 일어나는 경첩관절 -> 정강넙다리관절
● 무릎인대(Patellar ligament)에 의해 안정되고 보호됨
정강넙다리관절 : 정강뼈와 넙다리뼈 -> 경첩관절 / 무릎넙다리관절 : 무릎뼈와 넙다리뼈 -> 평면관절
2. 응용해부학
1) 인대
● 곂인대(Collateral ligament) : 안쪽, 가쪽 안정성 제공
● 십자인대(Cruciate ligament) : 무릎 앞뒤쪽 움직임의 안정성 제공
● 반달(Meniscus) : 체중 분산 및 흡수
안쪽곁인대(MCL)
가쪽곁인대(LCL)
● 정강넙다리관절의 안쪽면에서 앞쪽보다 뒤에 더 많이 분포
● 안쪽곁인대는 가동범위 내내 팽팽해짐
● 전체 인대섬유는 완전 펴짐 범위에서 긴장
- 굽힘 범위에서는 앞쪽섬유 긴장
- 중간 범위는 뒤쪽섬유 긴장
● 넙다리 가쪽위관절융기에서 종아리뼈머리로 이어짐
● 펼 때 팽팽해지고, 굽힐 때 느슨해진다
● 무릎관절 굽힘 시 가쪽 보호
앞십자인대(ACL)
뒤십자인대(PCL)
● 정강뼈 앞쪽에서 붙어서 위,뒤,가쪽으로 주행
● 넙다리뼈에 대해 정강뼈가 전방 이동 제한
● 굽힘 시 정강뼈가 가쪽돌림하는 것을 제한
● 작은 범위에서 무릎의 폄과 과다젖힘 제한
● 30도와 60도 굽힘 사이에 최소의 압박
● 정강뼈 뒤쪽에서 붙어서 위,앞,안쪽으로 주행
● 부채꼴 형태의 가장 견고하고 강한 인대
●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 후방 이동 제한
● 폄과 과다 젖힘 방지
● 무릎관절의 잠김(나사회전운동)에 돌림 유도 장치
● 정강뼈 가쪽돌림 시 양쪽 곁인대들은 팽팽해지고 십자인대들은 느슨해짐
● 무릎의 과다젖힘 충격
● 방향전환을 위한 갑작스런 감속 동작
● 비틀림, 무릎이 밖으로 꺽임을 통해 손상
● 무릎을 구부린채 정강이로 넘어질 때
● 정강뼈의 후방전위 등으로 손상
● Dashboard injury(교통사고)
반달연골(Meniscus)
● 체중부하 분배(체중을 흡수하는 역할)
● 관절 접촉 스트레스 경감
● 충격흡수
● 수동적 관절 안정화 -> 접촉면을 증가시켜줌
● 극도의 굽힘과 폄 제한
● 고유수용성 감각
- 안쪽반달 : C자 모양
- 가쪽반달 : O자 모양
-> 안쪽반달이 가쪽반달보다 크고 손상가능성도 더 높음
-> 반달연골은 안쪽에서 겉으로 갈수록 두꺼움
3. 신체검진
1) 특수검사
(1) 물렁조직병변검사
① 밖굽이 & 안굽이 긴장검사 : 안&가쪽곁인대 불안정성을 확인하는 검사
② 앞쪽 당기기 검사(앞쪽끌림검사)
● 검사방법
- 무릎을 굽힌 상태로 누운 자세 (90도 정도)
- 종아리 몸쪽을 두손으로 감싸고 앞쪽으로 당김
● 결과판정 : 종아리의 증가된 앞쪽 움직임 발생 -> 앞십자인대 불안정성
=> 압십자인대 : 무릎관절에서 시상면에서 안정성 제공 / 무릎 완전 폄 자세에서 최대 긴장 / 안쪽곁인대, 안쪽반달과 동반 손상 가능성 높은(불행삼주징) / 스포츠 활동 시 손상 가능성 높음
⓷ 뒤쪽 당기기 검사(뒤쪽끌림검사)
● 검사방법
- 무릎을 굽힌 상태로 누운 자세(90도 정도)
- 종아리 몸쪽을 두손으로 감싸고 뒤쪽으로 힘을 줌
● 결과판정 : 종아리의 증가된 뒤쪽 움직임 발생 -> 뒤십자인대 불안정성
=> 뒤십자인대 : 무릎을 완전 굽힘 자세에서 최대긴장 / 무릎관절 과도한 굽힘, 젖힘동작, 교통사고 시, 특히 Dashboard injury으로 손상 가능성 높음
⓸ 라크만 검사
● 검사방법
- 바로 누운자세에서 무릎관절 20~30도 굽힘
- 종아리 몸쪽을 두 손으로 감싸 쥐고 앞쪽으로 당김
-> 앞쪽 끌림 검사와 유사하지만, 무릎관절 굽힘 각도가 다르다는 것을 주의
● 결과판정 : 종아리의 증가된 앞쪽 움직임 발생 -> 앞십자인대 불안정성 / 파열
⑤ 맥머리검사
● 검사방법
- 바로 누운자세, 엉덩관절 약간 벌림 + 무릎관절 90도 굽힘
- 무릎관절에 Valgus 힘을 주면서 펴는 동시에 발을 잡은 손으로 정강뼈 안/가쪽돌림시킴
● 결과판정
- 딸깍, 뚝 소리, 통증 발생 시 반달연골 손상
-> 정강뼈 안쪽돌림하면서 편 경우 양성 : 가쪽반달 손상
-> 정강뼈 가쪽돌림하면서 편 경우 양성 : 안쪽반달 손상
⑥ 아플레이 압박 & 떼어당김 검사
● 검사방법
- 환자 : 엎드려 누운자세에서 무릎관절 90도 굽힘
- 검사자 : 무릎으로 환자의 넙다리 고정 후 위에서 아래로 발을 누르면서 무릎관절을 압박하면서 정강뼈 안쪽, 가쪽돌림 (압박검사)
- 검사자 : 무릎을 아래에서 위로 당겨 무릎관절 견인 (떼어당김검사)
● 결과판정
- 압박검사 시 안쪽돌림 : 가쪽반달손상 / 가쪽돌림 : 안쪽반달손상
- 떼어당김(견인) 시 통증 => 곁인대 손상/염증
⑦ 되튀김 검사
● 검사방법 : Supine, 발뒤꿈치를 잡고 무릎을 굽힘 후 환자에게 다리에 힘을 빼라고 한 뒤 환자의 발목을 잡아당겨 자연스럽게 무릎관절이 폄되면서 떨어지게 함
● 결과판정
- 폄이 일정하지 않거나 고무같은 느낌 -> 반동장애 발생 => 반달열상, 관절 내 부종
- 오히려 무릎이 과다폄 -> 뒤십자인대 손상
(2) 뼈/관절병변검사
① 무릎넙다리각검사
● Q-angle 검사: 무릎뼈의 중심점과 정강뼈 거친면을 연결하는 선과 무릎뼈 중심점과 ASIS를 연결하는 선과의 각도를 측정하는 검사
● 결과판정
- 정상 성인의 Q-angle : 13~18도
- 정상각도보다 큰 경우 : 연골연화증, 아탈구, 밖굽이 무릎(무릎이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정강뼈 거친면과 이어진 선과 ASIS와 이어진 선 사이 각도가 커짐)
- 정상각도보다 작은 경우 : 연골연화증, 안굽이 무릎일 가능성 높음
※ Genu valgus (밖굽이 무릎)
- 넙다리 안쪽융기의 비후와 길이 증가
- 가쪽융기에 과도한 압박
- 안쪽곁인대의 신장
- 가쪽곁인대의 단축
-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빗근, 안쪽넓은근의 신장 -> 약화
- 넙다리두갈래근의 힘줄과 ITB(엉덩정강띠)의 구축 -> 단축
- 무릎뼈가 가쪽으로 전위
※ Genu varus (안굽이 무릎)
- 넙다리 가쪽융기의 비후와 길이 증가 (또는 넙다리 안쪽융기의 성장장애)
- 안쪽융기에 과도한 압박
- 가쪽곁인대 신장
- 안쪽곁인대 단축
- 넙다리두갈래근, 종아리근 신장 -> 약화
- 모음근의 단축
- 관절의 안쪽 부위에 관절염
② 동요검사 & 붓칠검사
● 검사방법
- 동요검사 : 무릎뼈의 위아래에 손을 위치시켜 교대로 압력
- 붓칠검사 : 무릎뼈의 안쪽과 가쪽에서 압력을 가하며 문지름(한 손은 안쪽->가쪽/다른 손은 가쪽->안쪽)
● 결과판정 : 압박한 반대쪽에서 부풀어오르는 것이 관찰되면 관절주머니 속의 다량의 관절 삼출액이 있음을 의미
reference :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편찬위원회. 근골격계 물리치료 진단학 2판. 현문사. 2018
'근골격계 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골격계진단 - 다리의 평가 및 검사(발목관절) (0) | 2022.03.16 |
---|---|
근골격계진단 - 다리의 평가 및 검사(엉덩관절)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손목관절)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팔꿉관절) (0) | 2022.03.16 |
근골격계진단 - 팔의 평가 및 검사(어깨복합체) (0) | 2022.03.16 |